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산에서 내려온 족제비
산에서 내려온 족제비24.04.07

가족이 치매가 있다면 유전이 될수도 있나요?

나이
40
성별
남성

모든 질환은 유전이 많이 있는 거 같은데 가족 중에 치매 환자가 있다면 이후에 치매를 걸릴 확률이 있나요 치매도 유전 확률이 많이 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대부분의 질병이 유전적인 영향이 있겠고, 치매도 물론 유전적인 영향도 크겠습니다. 치매 가족력이 없는 경우에 비해 3.5배 정도 위험성이 올라간다는 의견도 있지만,, 워낙 변수가 많아서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알츠하이머병의 경우 가장 큰 원인이 연령, 유전입니다

    부모 형제에서 발병을 하면 가능성이 상승하고 여러 명이 발병을 하면 위험이 더욱 증가합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알츠하이머 병은 대체로 조기 발병과 늦은 발병의 두 가지 형태로 나뉩니다. 이 두 형태는 유전적 경향성 면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1.조기 발병 알츠하이머 병(EOAD): 이 형태는 전체 알츠하이머 환자의 소수에 해당하지만, 더 강한 유전적 연관성을 보입니다. 조기 발병 알츠하이머 병은 주로 65세 이전에 증상이 시작되며, 일부 경우에서는 특정 유전자 변이(PSEN1, PSEN2, APP)가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가족 내에 이러한 유전자 변이가 있으면 발병 위험이 상당히 증가합니다.


    2. 늦은 발병 알츠하이머 병(LOAD): 대다수의 알츠하이머 병 환자가 이 범주에 속하며, 65세 이후에 증상이 시작됩니다. 유전적 요인은 이 형태의 발병 위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조기 발병 알츠하이머 병만큼 명확한 직접적 원인은 아닙니다. 가장 잘 알려진 유전적 요인은 아포지단백질 E(APOE) 유전자의 ε4 대립유전자입니다. APOE ε4는 알츠하이머 병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반드시 질병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가족 중에 알츠하이머 병 환자가 있다면, 특히 부모나 형제자매가 이 질병으로 진단받았다면 발병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유전적 요인 외에도 생활 습관, 환경적 요인, 그리고 다른 건강 상태들도 알츠하이머 병 발병 위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를 고려할 때, 알츠하이머 병의 유전적 경향성은 개인의 유전적 배경, 가족력, 그리고 다른 위험 요소들의 복합적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됩니다. 가족 중에 알츠하이머 병 환자가 있다면,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정기적인 의학적 검진을 받으며, 필요한 경우 유전 상담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치매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가족력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치매에 걸리는 것은 아니지만, 치매 발병 위험이 다소 높아질 수 있습니다. 특히 알츠하이머병의 경우, 유전적 요인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큰 편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치매는 노화, 뇌 손상, 혈관 질환, 생활 습관 등 다양한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치매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규칙적인 운동, 균형 잡힌 식단, 적극적인 사회 활동, 두뇌 활동 등이 도움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조기에 치매를 발견하고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