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

엄마나 아빠가 화만내면 무조건 사랑한다고 말하는 아이

아이가 잘못을하거나 소리를 지를때 엄마나 아빠가 화를 내면 아이가 무조건 사랑한다고 말을 하면서 안깁니다. 이게 별로 안좋아보이는데 어떻게 아이를 훈육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은 잘못한 행동을 하고 나서 부모님께 혼이 날까봐 두렵거나 무서워 할때 자기방어차원에서 부모님께 사랑한다고 말을 하며 안기는 행동을 하기도 합니다. 그럴때는 아이의 마음을 먼저 이해하고 헤아려주시는 것이 좋으며 잘못된 행동을 했더라고 큰소리로 화를 내기보다는 차분한 목소리로 아이를 앉혀놓고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반복된 행동을 하지 않도록 대처방법도 알려주시는 것이 아이에게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무래도 사랑한다는 말을 했을때 부모님이 반응을 해주신 경험이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아이는 이것을 기억하고 회피하려고 사랑한다는 말을 입에 달고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이는 잘못된 것이고 사랑한다는 말로 피해갈 수 없다고 이야기를 해주셔야 되겟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현재 아이는 부모님이 화내는 모습을 보면서 불안감과 공포감, 무서움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아이는 불안하고 무섭고 공포감을 가지면 혹여 자신을 버리지 않을까, 더 혼내지는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고 겁을 먹게 됩니다.

    그래서 부모님에게 사랑한다고 말하면서 안기는 것입니다.

    아이가 잘못을 했다면 큰 소리를 지르거나 화를 내지 않고 훈육을 하셔야 합니다.

    아이가 잘못을 했다면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그 잘못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그 잘못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부드럽게 설명을 해주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신미선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잘못했을 때 부모가 화를 내면 "사랑한다"고 말하며 안기는 행동은 부모의 감정을 달래려는 것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아이에게 감정을 올바르게 표현하는 방법을 가르치고, 일관된 방식으로 차분하게 훈육하세요.

    올바른 행동을 했을 때는 칭찬과 격려를 통해 긍정적 강화를 제공하세요. 부모의 사랑을 확신할 수 있는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고, 정기적으로 대화를 나누며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지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사랑한다고 하면 엄마 아빠가 화가 풀린다고

    학습이 되어 있습니다

    아이가 잘 못 했을 때는 큰 목소리나 화를 내시면

    아이는 두려워서 자신의 잘못대한 성찰보다

    사랑한다 말해서 지금 상황을 모면 할려고 합니다

    "사랑한다고 말하는 것이 너의 잘못을 용서 받을수 있는건

    아니다" 라고 분명하고 단호하게 말 해 주세요

    본인이 무엇을 잘못 했는지 직접 이야기 하라고 하세요

  •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몇살인지는 모르겠으나 부모님이 화를 낼 때 아이가 많은 공포심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아이는 부모님이 자신이 부모님을 화나게 하면 부모님이 자신을 버릴까봐 더 혼낼까봐 불안해 합니다. 아이가 어리다면 되도록이면 감정적으로 화내지 않고 차분히 이야기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는 자기가 잘못해도 부모님은 날 버리지 않아 라는 믿음을 가질 수 있도록 안정적이고 차분한 애정을 아이에게 줄 필요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이가 잘못을 하거나 소리를 지를 때 엄마나 아빠가 화를 내면 무조건 아이가 사랑한다고 말한다는 것은 아이의 정서가 불안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이를 훈육 하실 때, 부모님도 화가나면 소리가 나오시기 마련이겠지만, 감정은 잠시 내려놓고 안정적인 말투와 태도로 일관성있게 훈육하시는 것이 도움이 되실 수 있습니다. 잘못을 할 때, 훈육이라 하더라도 목소리가 커지면 일단은 아이는 자신의 잘잘못을 떠나서 불안에 떨게 됩니다. 그래서 저런 행동을 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아이의 정서와 상태를 잘 살펴보시고, 훈육할 때, 다른 방법으로 접근을 시도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이것이 반복될 수록 오히려 성장한 후 양육과 훈육이 실패가 될 수가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사랑한다고 말을 하면 부모님이 용서해주는걸 보고 계속 이 말을하는데 이 말을 해도 소용없다고 하면서 훈계하세요~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엄마 아빠에게 멋지고 좋은 모습 보이고 싶은 아이의 마음이 큰 것 같습니다. 혼나는 거 자체를 싫어하고 두려워하고 있는 거 같은데요. 그 순간을 회피하고 싶은 아이의 모습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혹시나 아이를 훈육하실 때 흥분해서 말하시거나 큰 소리로 이야기하신 적은 없는지 돌이켜 보시고 아이와 함께 차분하게 민주적 대화를 이끌어가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