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미국의 401k제도는 언제 시작된 제도인가요?

미국의 증시가 16년간 우상향한 모양이고 그 이유에는 401k 제도의 영향도 크다고 하더군요. 그런데 오랜 기간 횡보한 적도 있다고 알고 있는데, 이 기간에는 401k가 없는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퇴직연금 제도인 401K 제도의 유래는 1970년대에 코닥임원들이 국회에 세전월급의 일부를 떼어서 주식시장에 투자하게 해달라는 요구에 따라 처음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401K 제도는 근로자와 회사가 함께 퇴직금을 적립하는 제도이며, 우리나라 퇴직연금 DC형과 유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401K와 같은 경우에는

    1981년 미국 레이건 정부 당시에

    개인연금의 지급불능 위기를 타개하기 위하여

    도입되었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401K 제도가 언제 도입되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1978년 당시 코닥의 임원들이 국회에 세전 월급의 일부를 떼어서

    주식 시장에 투자하게 해달라는 요구에 따라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이는 당시 지미카터 행정부에서 시작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401K 연금은 1970년대에 시작되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위키백과의 내용을 참고부탁드립니다.

    401(k)는 미국의 401(k) 퇴직연금을 뜻하는 용어이다. 미국의 내국세입법(Internal Revenue Code) 401조 k항에 직장가입 연금이 규정되어 있기에 이와 같이 불린다.[1] 401(k) 퇴직연금은 매달 일정량의 퇴직금을 회사가 적립하되, 그 관리 책임은 종업원에게 있는 방식의 연금이다. 즉, 퇴직금의 지급을 회사가 보장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401(k) 방식의 퇴직연금은 닷컴 활황 이전 미국 경제의 장기 호황 당시에 유행했다. 이 때는 주가가 계속 오르는 추세였기 때문에 종업원들은 자신의 연금을 회사 주식에 묶어 두었다. 하지만 닷컴 거품이 터지면서 주식으로 뒷받침하던 401(k) 연금은 증발했고, 설상가상으로 엔론, 글로벌 크로싱 등의 분식회계까지 터지면서 수많은 사람들이 퇴직연금을 받지 못하게 되었다. 한 예로, 엔론에서 일하던 엔지니어는 그 동안 40만 달러가 넘는 퇴직연금을 적립했지만, 엔론의 도산으로 겨우 2000달러 정도밖에 건지지 못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401(k) 제도는 1978년에 도입되었습니다. 이 제도는 근로자들이 세금 혜택을 받으며 퇴직 자금을 저축할 수 있도록 설계된 퇴직연금 계획입니다. 1980년대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활성화되었고, 이후 많은 기업들이 이 제도를 채택하게 되었습니다.미국 증시가 16년간 우상향한 시기는 주로 2009년부터 2021년까지의 기간을 의미합니다. 이 시기 동안 401(k) 제도가 많은 근로자들에게 퇴직 자금을 마련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고, 이는 주식 시장에 대한 투자 증가로 이어졌습니다. 그러나 401(k) 제도가 도입되기 전에도 미국 증시는 여러 차례의 횡보기를 겪었습니다. 예를 들어, 2000년대 초반의 닷컴 버블 붕괴 이후에는 증시가 오랜 기간 동안 정체 상태에 있었습니다. 이 시기에도 401(k) 제도는 존재했지만, 경제적 불확실성과 시장의 변동성으로 인해 투자자들의 심리가 위축되었고, 이는 증시의 성과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1978년도에 미국의 퇴직연금 제도 조항에 401K라는 것이 생겼고 이 때부터 증시에 자금이

      투자되었습니다

    • 따라서 오랜기간 횡보시기에도 401K를 통한 자금 유입은 있었습니다

    • 미국 증시가 우상향한 것에서는 401K제도 영향도 있지만 투자시장이 글로벌화 되면서

      우리나라 개인 투자자들도 쉽게 미국 주식에 접근할 수 있게 된 것처럼 전세계 자금이

      미국 증시로 쏠리면서 더욱 가파른 상승을 나타낼 수 있었습니다

    • 미국에 상장되어 있는 큰 기업들은 글로벌 기업들이 많은데 이 기업들을 알고 있는 투자자들이

      미국에 투자하면서 큰 성장세를 보인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미국의 401(k) 제도는 1978년에 도입되었습니다.

    당시 미국 의회는 세금법 개정안에 이 제도를 포함시켰고, 1980년에 IRS가 401(k) 제도에 대한 규정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시행되었습니다.

    401(k) 제도는 직원들이 세금이 이연된 계좌에 자금을 저축할 수 있도록 하여 장기적인 퇴직 준비를 돕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미국의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받으며, 투자자들이 장기적으로 주식에 투자하도록 유도했습니다.

    401(k) 제도가 도입되기 전에도 주식시장이 상승세를 보인 적이 있지만, 401(k) 제도가 본격적으로 활성화되면서 장기적인 투자 자금의 유입이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401k 제도는 1981년에 도입되었습니다. 이 제도는 미국 근로자퇴직소득보장법의 401조 k항에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401k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증시가 16년간 우상향한 이유 중 하나는 401k 제도 덕분에 많은 사람들이 꾸준히 주식시장에 투자했기 때문입니다. 401k는 오래전부터 존재했지만 증시가 횡보하거나 하락한 시기도 있었습니다.

    이런 시기에는 경제 위기, 기술 버블 붕괴, 금융 위기 등 다른 요인들이 더 큰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401k의 효과가 잘 드러나지 않았던거겁니다. 즉, 401k가 있었지만 시장의 다른 요인들로 오랜 횡보 기간이 발생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401K란 미국의 근로자 퇴직소득보장법의 401조 K항에 규정돼 있기 때문에 붙여졌는데요. 정확하게는 1980년에 처음 도입됐으며, 이후 1990년 후반부터 활성화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