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하염없이 우는 매미
하염없이 우는 매미24.04.03

개똥벌레에서 빛이 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요즘에 많이 줄어든거 같은데 예전에는 어렸을때 개똥벌레를 정말 많이 보고 자랐어요 개똥벌레에서 빛이 나잖아요 이것을 반딧불이라고 하는데 빛이 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이가 빛을 내는 원리는 루시페린이라는 물질과 루시페라아제라는 효소가 산소와 반응하면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이는 아랫배 끄트머리 두세째 마디에 발광기관이 있습니다. 이 안에서 발광단백질인 '루시페린'과 발광효소인 '루시페레이스'가 생산되는데, 이들이 산소와 결합하면 루시페레이스가 루시페린을 산화하며 빛을 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이 나는 원리는 생물발광이라고 불리는 현상으로, 바이오루미네센스 혹은 생물발광이라고도 합니다. 개똥벌레는 발광단백질인 루신과 루시페라제를 함유한 발광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두 가지 물질이 반응하여 빛을 발산하는데, 이는 산소와 ATP(아데노신 삼인산)의 산화반응에 의해 일어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이는 몸에서 빛을 내어 빛으로 말하는 발광생물인데요. 반딧불이는 성충, 알, 유충, 번데기 등 모두가 빛을 내는데 배마디 아래 끝에 옅은 노란색 빛을 내는 발광기가 있어 발광기에는 발광물질인 루세페린과 효소 루시페레이즈가 생산되는데. 이 루시페레이즈의 촉매작용으로 루시페린은 산소와 반응하여 이산화탄소와 빛을 발산한다고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