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어디고
어디고

튀르키예가 물가상승률70% 기준금리50%라는데 이게 말이 되나요?

제가 알기로는 튀르키예는 코로나19사태가 있고난후 다들 금리를 올릴때 오히려 금리를 내리기도 했던 나라로 알고있는데 지금 물가상승률이70%퍼센트라네요 거기다가 기준금리가50%? 이게 말이 되는건가요? 그나라의 국미들은 도대체 어떻게 살고있는거죠? 가만있으면 들고있는 돈이 녹아내리는거 아닌가요? 왜이렇게 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이 안된다고 생각하실수는 있지만 튀르키예는 기준금리 50프로에 물가상승률 75프로 정도 됩니다

    보통 이렇게 인플레이션이 높은 나라 국민들은 월급 나오면 그날 다 쓰더라구요

    월급나온 다음날 쓰면 물가상승률 때문에 손해라고 월급받자마자 다 쓰는 국민들이 많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튀르키예는 코로나 전부터 정치적인 문제로 튀리키예 화폐인 리라화가 폭락하면서 엄청난 물가상승률을 기록했었고 지금까지도 정치적인 문제로 정상화가 되지 않는 모습입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1명 평가
  • 튀르키예의 물가상승률과 기준금리가 매우 높은 수준인 것은 사실입니다.

    2023년 9월 기준으로 튀르키예의 물가상승률은 70.84%, 기준금리는 19%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 이유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글로벌 공급망 문제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해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물가가 크게 상승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튀르키예 정부의 경제 정책 실패와 정치적 불안정성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물가상승률이 70%를 넘는 상황에서는 화폐 가치가 하락하여 가만히 있어도 돈이 녹아내리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여 튀르키예 국민들은 생활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튀르키예가 물가 상승률 70퍼센트, 기준금리 50퍼센트라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물가 상승률이 70퍼센트까지 된다면

    기준금리를 50퍼센트까지 올려서라도 대응을 할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튀르키예의 물가 상승률과 기준금리 상황은 이례적이며, 높은 인플레이션과 경제 불안정이 원인입니다. 2021년 이후, 튀르키예는 금리를 낮추는 이례적인 통화 정책을 펼쳤지만, 이는 통화가치 하락과 물가 폭등을 초래했습니다.

    현재 물가 상승률이 70%에 달하면서 국민들의 실질 구매력이 크게 줄어들었고, 높은 기준금리조차도 물가를 안정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 튀르키예의 국민들은 이러한 경제 불안정 속에서 자산 가치를 지키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튀르키예와 같은 경우에는 물가상승률이

    그나마 어느정도 둔화된 것입니다.

    아무래도 잘못된 금융정책 등

    여러가지 이유로 물가가 높고 이에 물가를

    잡기 위하여 금리를 상당폭 올려 50% 수준인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튀르키예는 지진, 코로나 펜데믹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의 외부 요인과 정부 정책이 물가 상승을 부추겼으며, 이를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50%까지 끌어올리는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국가가 유지되는 게 신기할 정도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적으로 금리를 올리는 추세와 달리, 튀르키예는 저금리 정책을 고수하며 물가 상승을 부추겼습니다. 이는 급격한 환율 하락과 함께 70%에 육박하는 높은 물가 상승률을 야기했고, 결국 기준금리를 50%까지 올리는 초강수를 둬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튀르키예 국민들은 높은 물가와 급격한 화폐 가치 하락으로 인해 생활이 매우 어려워졌으며, 자산 가치가 급격히 감소하며 큰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튀르키예의 현재 경제 상황은 매우 심각한 수준입니다. 인플레이션율이 70%를 넘어선 반면, 기준금리는 50%로 책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일반적인 경제 원칙과는 거리가 먼 상황으로, 에르도안 대통령의 비정통적인 경제 정책이 주요 원인입니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고금리가 오히려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고 믿어 금리 인하를 고수해왔습니다.

    이러한 정책으로 인해 튀르키예 국민들의 삶은 매우 어려워졌습니다. 물가 상승으로 인해 기본적인 생필품 구매조차 힘들어졌고, 저축의 가치가 급격히 떨어지고 있습니다. 많은 국민들이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으며, 일부는 값싼 빵으로 끼니를 해결하기 위해 긴 줄을 서는 상황입니다.

    튀르키예 정부는 경제 성장을 위해 이러한 정책을 고수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심각한 경제 위기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국제 투자자들의 신뢰도 하락, 리라화 가치 폭락 등의 문제가 지속되고 있어, 향후 정책 변화가 없다면 경제 상황은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튀르키에의 화폐가치가 바닥을 드러내면서 곧 베네수엘라와 같은 하이퍼인플레이션을 맞이하여

      화폐 기능을 상실할 전망입니다

    • 이렇게 무너져내린 원인으로는 지속적인 돈풀기를 통한 화폐 공급 증가로 인한 결과입니다.

    • 해당 국가 국민들은 현재 일하는 의미가 없는 상황이고 달러로 거래를 하는 사람들도

      늘어가고 있는 상황으로 해당 국가의 화폐가 망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