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기민한테리어284
기민한테리어28424.06.17

버팀목 전세자금대출과 보증보험가입

주택임차인이 버팀목 전세자금을 대출 받을경우 임대인에게 미치는영향과 임대기간중 주택을매도할경우 지장이없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영관공인중개사 입니다.

    임차인의 전세자금대출로 인해 임대인이 불이익이나 집을 매도하지 못하는등의 문제는 없습니다.


  • 임차인이 대출을 받아 임대차하는 형태는 매우 일반적인 경향입니다
    임대인으로서는 임차시장이 확장되는 것으로 긍정적입니다
    임대인에게 부정적인 것은 거의 없습니다
    매도할 경우도 마찮가지 입니다.
    대출 받지 않은 임차인과 다르지 않습니다
    좋은 가격으로 높은 전세율을 유지한다면 매도에도 유리합니다
    매매시 승계인에게 전세만기시 상환방식에 대해서 인수인계만 정확히 하시면 되겠습니다


  •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은 주택도시기금에서 제공하는 전세자금대출 상품으로, 대출받은 임차인이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할 경우에는 주택도시보증공사에서 대출금을 대신 상환해주는 보증보험 상품입니다. 주택임차인이 버팀목 전세자금을 대출 받을 경우 임대인에게 미치는 영향은 없습니다. 다만, 대출금이 임대인의 계좌로 입금되므로, 임대인은 대출금을 상환할 의무가 있습니다.

    임대기간 중 주택을 매도할 경우 지장이 없습니다. 대출금을 상환하면 됩니다.


  • 임차인이 조건이 되어야 버팀목전세자금 대출을 받을수 있습니다

    그런대출로 인해서 임대인께 미치는 영향은 없다고 봅니다

    전세보증보험도 전세금 한도가 되면 들수 있습니다


  • 주택임차인이 버팀목 전세자금을 대출 받을경우 임대인에게 미치는영향과 임대기간중 주택을매도할경우 지장이없는지 궁금합니다

    ==> 통상 임차인이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을 실행하는 경우 질권이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임대인도 계약종료시 보증금을 임차인에게 지급해서는 아니되고 질권설정된 금액 만큼 질권설정은행에 상황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는 경우 민사상 책임을 부담할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현 임차인을 안고 매도를 하는 경우 관련 내용에 대해서 매수인에게 알려줌은 물론 대출은행에도 관련 내용을 통보해야 합니다.


  •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은 주택도시기금에서 지원하는 전세자금 대출로, 임차인이 전세 자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임차인이 이 대출을 받으면 전세보증금의 상당 부분을 대출로 충당할 수 있습니다.

    임대인에게 미치는 영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대출금 지급 방식입니다. 임차인이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을 받을 경우, 대출금은 임차인이 아닌 임대인의 계좌로 직접 입금됩니다. 이는 임대인에게 전세보증금을 안전하게 받을 수 있는 방법이 됩니다. 또한, 임차인이 대출을 상환하지 못하더라도 임대인은 전세보증금에 대한 안전성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둘째, 보증보험 가입입니다.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을 받을 때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나 서울보증보험(SGI)의 보증보험에 가입하게 됩니다. 이는 임차인이 전세보증금을 반환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보증기관이 대신 반환해주는 제도입니다. 따라서 임대인에게는 보증보험 가입이 오히려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보증보험이 존재하므로 전세보증금 반환에 대한 위험이 줄어듭니다.

    임대기간 중 주택을 매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드리자면, 임대인은 임대기간 중에도 주택을 매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택이 전세 계약 중일 경우, 매수자는 임대차 계약을 그대로 승계해야 합니다. 즉, 매수자는 기존 전세 계약을 인정하고 임차인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주택을 매도하는 과정에서도 보증보험은 유효합니다. 임대차 계약이 승계되면 보증보험도 자동으로 승계됩니다. 따라서 새로운 임대인도 전세보증금 반환에 대한 보증을 받게 되므로, 거래에 큰 지장을 초래하지 않습니다.

    결론적으로, 버팀목 전세자금대출과 보증보험 가입은 임대인에게 오히려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임대기간 중 주택을 매도하는 경우에도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다만, 임대차 계약 승계에 대해 매수자와 충분히 협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