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3학년 딸아이 학교숙제를 안해가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초등학교3학년 딸아이가 학교에서 숙제를 내주었는데, 저와 와이프에게는 학교 학원숙제를 다 했다고 하고는 막상 다음날에 연락이 와서 하지 않았다고 연락이 왔는데요.
빨리하고 놀라고 하지만, 거짓말을 할지는 몰랐고요.
숙제를 하나하나 챙겨야겠지만, 정확하게 어떠한 것인지 알지 못하는 경우도 있는데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이네요.
알아서 잘 해주었으면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숙제를 하지 않는다 라는 부분은
아이의 책임감이 결여 되었다 라는 부분이 큰 입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 하였다면 아이의 잘못된 행동의 있어서 적합하게 행동지도를 해주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
아이를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방 안으로 데리고 들어가
아이를 앉히고 담임 선생님을 통해 숙제를 하지 않고 학교에 등원을 하였다 라는 부분을 전달 받았음을 아이에게
알려주면서 단호한 어조로 숙제를 하지 않고 학교에 등원하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음을 전달하고 왜 이러한
행동이 옳지 않은지 이에 대한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학교에서 돌아오면
아이의 과제장을 점검하고, 아이에게 이러한 과제를 수행 해야 함을 알려주고
아이가 과제를 다 끝냈다면 그 과제를 다시 함 점검을 해보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 필요로 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유미선 보육교사입니다.
학교에서 알림장을 적어오기 때문에 확인후 숙제를 스스로 하기보다 관찰해주시고 마친후 확인작업을 하신다면 누락되는일이 적을것입니다.
또한 스스로 공부하는 습관을 길들이기 위해서는 당분간을 위와같이 사전사후 검사(확인)를 하시고 잘 하였을경우 아이가 원하는 놀이시간이나 핸드폰 허락시간등 보상을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공부나 숙제 보다 놀이를 좋아 하는 나이 이기도 합니다 예전과는 다르게 숙제에 대한 압박감이 상대적으로
덜 하기 때문에 숙제에 대한 책임감이 없기도 합니다
아직은 스스로 공부를 알아서 하기엔 아직 어리다고 생각 돼요
부모님께서 아이의 숙제를 점검 하고 확인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아이에게 숙제가 뭔지 물어 보시고 알림장이나 확인 하시거나 학원 숙제의 경우 선생님이 어디 까지
숙제 해오라고 표시 해주는 경우도 있어요
학원 교제를 확인 해보시면 됩니다
초등학교 3학년 여자 아이가 학교에 갈 때 숙제를 하지 않을 때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가봅니다.
왜 숙제를 안하는지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숙제가 너무 어려운지, 양이 많은지 등)
숙제 루틴 만들기, 숙제 환경 정리해 주기, 작은 목표부터 시작하기, 부모의 태도: 잔소리보다 응원, 숙제 후 보상 연결하기, 책임감 키우기 등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 저학년에 학습 습관을 만들어주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 시기는 학습의 결정적 시기로 이때 만들어진 습관은 나중에 쉽게 바뀌지 않습니다.
아이가 숙제를 다 했다고 말했지만 실제로 하지 않았다는 사실에 당황스러울 수 있습니다. 아이가 숙제를 안 했을 때는 그 이유를 잘 들어보고, 앞으로는 숙제를 제대로 할 수 있도록 책임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에게 숙제를 잘 하는 습관을 길러주고, 자기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워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거짓말은 잘못된 행동이라는 점을 자연스럽게 이야기하면서 정직함의 중요성을 알려주고 앞으로는 솔직하게 말하도록 유도해주세요.
아이에게 숙제를 끝내고 나서 놀이를 할 수 있도록 규칙을 정해 주고 작은 성취를 이루었을 때 칭찬을 해주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거예요. 이 과정을 통해 아이가 스스로 책임감을 느끼고, 숙제를 꾸준히 잘 하게 될 거예요.
제 답변이 자녀 양육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초등학교 3학년은 아직 자기관리 능력이 완전하게 자리 잡히지 않은 시기라서, 숙제를 빼먹거나 거짓말을 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습니다. 혼내기보다는 왜 숙제를 하지 않았는지, 왜 거짓말을 했는지 아이의 속마음을 차분히 들어주는 것이 먼저입니다. 그 후에는 숙제 체크리스트를 만들어서 아이 스스로 체크하거나, 부모와 함께 점검하는 습관을 들여보시기 바랍니다. 알림장이나 하이클래스의 소통 창구를 먼저 공유받는 것도 좋아요. 숙제를 끝낸 뒤에는 소소한 칭찬이나 보상을 통해 책임감과 성취감을 키워줄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숙제가 아닌 아이의 신뢰나 습관을 쌓아가는 과정임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3은 아직 자기관리 능력이 부족해서 숙제를 빠뜨리거나 거짓말로 넘기기도 합니다. 우선 딸과 차분히 대화해 왜 숙제를 안 했는지 이유를 들어보세요. '혼나지 않으려 거짓말한 건 아닐까?'공감해주면서 솔직히 말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주세요. 이후 숙제를 매일 확인할 작은 루틴(숙제장 같이 보기, 숙제 체크리스트 만들기 등)을 만들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왜 거짓말을 했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숙제보다는 빨리 놀고 싶어서 일수도 있고, 안 했다고 하면 혼 날까 봐 거짓말을 했을 수도 있습니다.
이는 악의적인 거짓말이 아닌 회피성 거짓말이죠,
혼내기 보다는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되, 신뢰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함께 숙제를 체크하고 확인해 주면서 책임감과 정직함을 강조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