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05

일시적 1가구 2주택 어길시 어떻게 되는지요?

2019. 3월

기존주택구입 4억 (2년 실거주,비과세 여건 확보)

현재 집값. 8억

2023. 4월 (신주거)

새집 분양 계약 6억 , 2년 6개월후 입주 예정

(= 2025. 10월 경)

이경우, 일시적 1가구 2주택으로,

기존집을 새집 분양 계약 3년 이내에 (2026. 3월)

매도하면 비과세 헤택을 받습니다.

[질문]

그런데, 기존집이 더 오를 가능성이

있는경우 (예를 들어 10억 이상 기대)

이때, 1가구 2주택 혜택, 3년기한을 넘겨서

2028~9년 또는. 2030년 이후에 매도할경우

기존집 매도시 양도세율 적용은 어찌되나요?

아니면 기존집 팔지말고 전세준 상태로

그냥 2주택으로 쭉 ~ 가지고 간다?

1주택자이신데 새집 분양 받으시는분들

어떤 계획으로 분양 받으시나요?

2주택 유지? 또는, 기존주택 비과세로 매도?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어상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양도세 중과세는 2024년 5월까지는 유예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그 이후에는 2주택자의 중과세는 일반세율에 +20% 입니다.

    그러므로, 지금 일시적 2주택자로서 기존주택의 양도차익 4억정도의 양도소득세 비과세혜택을 받는게 훨씬 더 유리합니다.

    기존주택의 양도차익 과세표준이 6억이라는 가정하에, 일반과세 42%에 중과세율 20%해서 62%하면, 세금만 3.72억이 되기 때문입니다.


  • 김영관 공인중개사blue-check
    김영관 공인중개사23.05.05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새로운 주택을 구입후 기존주택을 3년안에 매도하지 않으면 일반세율로 적용되어 매도시 양도소득세를 부담하는것 이외에는 불이익이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단순하게 설명드립니다. 일시적 1주택 양도비과세 혜택을 받지 못할경우 1가구 2주택으로 종전주택 매도시 양도소득세가 부과됩니다. 즉 종전주택 양도차익에 따라 양도세가 부과되며 질문에서 양도차익이 5억이 넘을 경우 40~45%, 4억~5억이라면 38%가 적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공인중개사입니다.

    양도차익이 어느정도 될지를 보고 양도세 비과세, 과세를 가정하여 계산 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적 인상이 된다고 생각해도 손해보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니, 충분한 고민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세금은 전문가에게 정확하게 상담을 받아보셔야 겠지만 양도세가 만만치 않으니 그래도 비과세로 매도 하는게 제일 유리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