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 엄지발가락 발톱 검은선 질문입니다
2022년 왼쪽 엄지발톱에 검은선이 발견되어서 조직검사가 가능한 병원에서 조직검사를 하였고 그 결과 그냥 점이라는 판정을 받고 잊고살던중 최근 발톱을 깎다가 보니 선이 1.5배-2배정도 커져있었습니다. 그래서 가까운 피부과에 갔는데 허친슨 징후도 안보이고 딱히 악성으로 의심되보이지는 않지만 선이 넓어진건 맞으니 조직검사를 해도되고 좀 더 지켜봐도 된다는 좀 애매한 답변을 듣고 고민이 좀 많은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선이 얇은게 2022년이고 두꺼운게 현재상태입니다 나이는 28세 남자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사진으로는 정확한 진단 불가능하며 병원 방문하셔서 직접 육안으로 진료 보셔야 합니다
엄지발톱에 생기는 검은 선, 특히 그 폭이 넓어졌다면 걱정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이미 2022년에 조직검사를 통해 단순한 색소 침착(멜라닌 점, 멜라노니키아 스트리아)이라는 진단을 받았다고 해도, 시간이 지나면서 선이 1.5~2배 정도 굵어졌다는 점은 분명 눈여겨봐야 할 변화입니다.
일반적으로 손발톱에 생기는 검은 선은 무해한 경우가 많지만, 특정 경우에는 손발톱 흑색종(멜라닌성 악성종양)의 초기 징후일 수도 있어서, 선의 두께 변화나 색의 퍼짐, 주위 피부로 번지는 허친슨 징후 등을 관찰하게 됩니다. 현재 피부과에서 허친슨 징후는 없고, 악성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지만 선이 두꺼워졌다는 건 명백한 변화이기 때문에 조직검사를 권유 한거구요
악성흑색종은 비교적 드물지만, 초기에 발견하지 못하면 진행 속도가 빠를 수 있어 '조심해서 나쁠 것 없는' 유형에 속하는 질환입니다. 정기적인 사진 기록을 남기며 관찰해보는 방법도 있지만, 선이 점점 넓어지고 있다면 이 시점에서 다시 명확한 판단을 내려보는 게 나을 수도 있어요.
또한, 이번에 진료받은 병원이 일반 피부과였다면 가능하면 모반성 병변이나 손발톱 병변에 특화된 피부과(피부종양 전문의나 대학병원 피부과)에서 진료를 받아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그쪽에서는 더 정밀한 진단 기기(손발톱 전용 피부경 등)를 활용해 악성 가능성을 더 세밀하게 판단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최소 침습 조직검사도 다시 안내해줄 수 있어요.
검사 받으시는걸 추천해 드리지만 만약 검사를 다시 하지 않는 방향으로 선택하더라도, 3~6개월 단위로 정기적으로 크기, 색, 경계 변화를 촬영 기록하고, 이상 징후가 보이면 바로 병원을 찾는 습관은 꼭 가져야 합니다.
악성종은 워낙 희귀한 질환이기 때문에 아닐 가능성이 높긴 합니다만, 배제를 할 수는 없는 소견이긴 합니다. 그대로 쭉 유지가 되었다면 그냥 경과를 지켜보는 것이 적절하겠는데, 크기가 커졌다면 혹시 모르므로 조직검사를 재차 확인해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해당 소견 때문에 불안하고 걱정되어서 지장이 생길 것이라면 그냥 확실하게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어떨까 싶어 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