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성 오메가3와 동물성 오메가3의 장단점
안녕하세요.
오메가3에 식물성과 동물성 두 종류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느낌상 식물성이 더 좋을꺼같은데, 각자의 장단점도 있을까요?
식물성오메가3는 EPA가 들어있지 않기때문에 EPA와 DHA가 같이 들어있는 동물성 오메가3로 드셔야 좋습니다.
동물성을 드시면서 식물성을 추가로 드시는건 괜찮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동욱약사입니다.
동물성이 더 좋습니다. 대부분의 임상실험을 동물성으로 하기도 했고요. EPA가 식물성에는 너무 적습니다.
안녕하세요. 식물성 오메가-3가 더 좋다는 것은 말 그대로 '식물성'이라는 워딩이 비교적 더 건강해 보이는 느낌이라서 그렇지, 특별히 식물성이던 동물성이던 오메가-3는 차이가 없습니다. 어차피 오메가-3 내에서 약리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은 EPA, DHA이며, 이 성분은 식물성이던 동물성이던 동일한 것이고 이들의 수치가 높냐 낮냐를 보고 제품을 비교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동물성오메가는 생선에서 추출하기에 냄새에 예민하여 복용이 불편한 경우에는 식물성 오메가 3를 권장드립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되셨다면 추천 '👍' 눌러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식물성 오메가3에는 DHA 중심으로 들어있는데, DHA에서 EPA로의 전환이 매우 적습니다.
따라서 한쪽으로 편중되어 있는 식물성 보다는 EHA EPA 고르게 들어있는 동물성 오메가3가 더 낫다는 것이 제 소견입니다.
식물성의 장점은 어취가 안 난다 정도일텐데 요즘 나오는 동물성 오메가3도 제형설계가 잘 되어 어취가 많이 안 납니다.
오메가3는 원료에 따라 동물성과 식물성으로 분류됩니다. 동물성과 식물성 모두 특징이 있기 때문에 어떤 것이 좋고 나쁜 것은 아닙니다. 목적에 따라서 복용하시면 됩니다.
동물성 오메가 3는 어류에서 기름을 추출한 것으로 비릿내 같은 어취가 조금 날 수 있고 어류의 먹이사슬 특성 상 해양 오염의 문제로 인해 중금속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이런 문제로 먹이사슬의 하위에 있는 작은 물고기들로 오메가3를 추출해 중금속 문제를 최소화시키기도 합니다.) 식물성 오메가3는 식물성 플랑크톤에서 추출한 것으로 생선 비릿내가 적다는 장점이 있으며, 중금속 문제에서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동물성과 식물성 오메가3는 각각 성분에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동물성 오메가 3는 피를 맑게 해주는 EPA의 함량이 DHA보다 높습니다. 따라서 콜레스테롤 수치와 중성지방의 수치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 더 적합합니다.
식물성 오메가 3는 흔히 머리에 좋다라고 하는 DHA의 함량이 EPA보다 더 높습니다. 따라서 공부를 하는 학생들에게 조금 더 적합한 제품이라고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동물성오메가3와 식물성오메가3는 각각 특징이 있습니다
오메가3는 EPA와 DHA의 합으로 이루어지는데,
동물성의 경우 EPA와 DHA가 골고루 들어있으며 대략적으로 6:4 정도의 비율로 제품이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식물성의 경우 EPA에 비해 DHA의 비율이 훨씬 높게 들어있는 편입니다
따라서 동물성은 EPA와 DHA의 효과를 모두 보기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식물성의 경우 DHA의 효과에 집중하기에 좋은 편입니다
EPA는 혈액순환, 염증제거, 혈중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수치 등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DHA는 안구건조, 뇌 기능 개선 등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간혹 식물성이 식물에서 추출해서 중금속이 적고 안전하다~ 이런식으로 마케팅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어차피 건강기능식품으로 허가를 받아서 나오려면, 중금속이나 불순물 등이 문제가 될 정도로 들어있는 것들은 제품으로 나오기 어려우므로, 무조건 동물성을 기피하실 필요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