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길쭉한날쥐200
길쭉한날쥐20022.02.27

신생아는 1,2시간 마다 계속 깬다는데 이것이 언제까지 지속되나요?

안녕하세요.

육아에 힘든점으로서, 완전 애기때는 1시간 마다도 계속 깨서 울고 그런다는데, 이런 생활이 보통 몇개월-몇살때 까지 지속되는지요?

그리고 실제로 새벽 내내 저렇게 깨면, 일어나서 돌봐주는 생활을 하는건가요? 어떤식으로 관리하는지 궁긍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신생아들은 보통 1~2시간 마다 자다가 깨어납니다.

    길어야 3시간 정도구요

    신생아라서 4시간 이상 자게 되면 탈수증이 올 수 있으니 너무 오랫동안 자는 것도 안좋아요

    아가들의 수면습관이 잘 들여지면 빨리 통잠을 자서 아이도 편하고 엄마, 아빠도 편합니다

    아이의 통잠을 재울려면 조금 더 아이가 크면 올바른 수면 습관을 들이도록 규칙적인 수면 시간을 정하는 게 중요합니다.

    매일 같은 시간에 같은 순서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일 같은 시간에 목욕을 합니다

    목욕이 끝난 후 아기 마사지를 동일한 순서로 하는 거지요

    잠자는 신호로 똑같은 자장가를 불러 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잠자는 활동을 마치면 끝났다는 신호를 매일 똑같이 아기에게 준 후 불을 끄고 재워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두달에서 세달넘어가면서 자는시간점점늘어납니다
    보통은 100일을 전후로 아이가 통잠을 자는 시간이 늘어나서

    '100일의 기적'이라 부르는데요 이때가 되면 밤에는 5시간에서 7시간정도자용ㅎㅎ
    이때는 수면 교육을 통해 밤낮구분할수있게 밤에는어둡게해주시구요 한번먹일때 최대한많이먹이세요 ㅎㅎ


  •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의사입니다.

    첫 육아에서 가장 힘든 시기를 보내고 계시군요.

    이번 상담이 꼭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신생아는 수유가 들쑥 날쑥 하긴 합니다.

    그렇지만 새벽내내 1시간 간격으로 깨고 있다면,

    한번에 먹는 수유량이 모자라거나 영아산통에 의한 울음을 생각해보셔야 합니다.

    일단, 최근 체중이 잘 늘고 있는지 먼저 확인하시고

    한번에 어른 손바닥 크기 이상 젖은 소변기저귀가 하루 최소 6회이상 보통 8-10회 정도 보는지

    부터 확인해 보신 뒤

    여기에 해당하면서도 새벽마다 1시간간격으로 울고 있다면 영아산통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이들은 울때 자세히 보면 두가지 3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1. 배고플때 (사실 배고프기 시작해서 좀 시간이 경과했을때 웁니다.)

    2. 졸릴때 (이때는 확실히 졸리워서 징징거림이라 구분하기 쉽습니다.)

    3. 배가 아프거나 더부룩할 때 (영아산통에 해당합니다.)

    꼭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아이가 배고플 때 첫 신호는 우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배고픔의 첫 신호는 똘망똘망 주변을 살펴보며 두리번 거리고 해맑게 웃는 등

    마치 엄마를 찾으며 놀아달라는 듯한 행동입니다.

    신생아는 시력발달이 거의 없어서 놀고 싶다거나 엄마를 아직 알아보지 못하는데

    이런 행동은 배가 고파서 나오는 본능적인 행동입니다.

    이 단계를 지나면 자지러지게 우는데 이때는 배가 이미 많이 고파진 상태인 거죠.

    반대로 영아산통은 배에 가스가 차서 우는 것으로

    똘망거리는 배고픔의 전조 증상이 없이 처음부터 아픈듯이 끙끙거리는 양상이 동반됩니다

    배에 가스가 차는 여러이유가 있지만

    가장 흔한 건 수유하면서 재우는 습관때문입니다.

    아이는 졸릴때는 어느정도 징징대면서 자야 오히려 푹 자는데

    완전히 잠이들때까지 수유를 하시면 배에 가스가 찰 수밖에 없지요.

    그런데 문제는, 영아산통때문에 배가 아파서 울 때조차

    수유를 하면 잠깐 울음을 멈추고 다시 먹으면서 잠이 든다는 것입니다.

    이는 <빨기 반사>라고 하는 신생아 시기의 자동 신경 반사기능 때문입니다.

    즉, 울어서 먹였더니 순간 잠이 든다고 해서 배가 고팠던 것은 아니라는 것을 꼭 기억해 주세요.

    요약드리면

    1. 지금 배가 고파서 우는지, 졸려서 우는지, 배가 아파서 우는지 관찰하시고

    2. 체중도 잘 늘고 소변도 충분히 보는 아이가 똘망거리거나 두리번 거리는 배고픔의 전조 없이

    처음부터 끙끙대고(특히 새벽시간) 운다면 영아산통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3. 영아산통이 의심되면 졸릴 때 끝까지 수유하는 습관을 교정하시고,

    배에 가스가 빠질 수 있는 바운서 등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수유간격은 1시간이었다가 4시간 이었다가 둘쑥날쑥 한 것이 정상적이므로

    배고픈 징후가 있을때는 무조건 간격을 두지 마시고 수유하시기 바라며

    최대 5시간 이상 수유를 하지 않고 자고 있는 경우엔 무조건 깨워서 먹이셔야 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아이가 몇살인지 모르겠지만

    첫번째 배가 고픈 경우

    두번째 이가 나는 시기 이 앓이하는 경우

    셋째 기저귀 발진등으로 인한 통증

    넷째 지나친 관심과 자극(흔히 손이탔다고 하죠?)

    다섯째 감기등의 질병이 들었을 경우

    등등 여러가지 가능성이 있습니다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아이가 잠이 오는데도 자지 않는다면 잘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신생아 때는 아가가 수시로 깬다고 들었어요.

    그래서 엄마, 아빠가 돌아가면서 보초를 선다고 하지요.

    몇 개월이 지나면 잠드는 시간도 길어진다고 하니 힘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