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전기·전자

똑똑한대벌래237
똑똑한대벌래237

기주공명실험에서는 왜 소리 높낮이가 변하지 않나요?

팬플룻을 불거나 리코더를 연주할 때는 파동이 진행되는 거리에 따라 진동수가 변해서 다른 소리가 난다는데, 기주공명실험에서도 소리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관의 길이를 변화시키지 않나요? 일반적인 악기와 다르게 소리 크기만 변하는 이유가 뭔가요? 공기를 불어넣는 것과 소리굽쇠 혹은 부저를 가까이 대는 것의 차이인가요? 정확히 어떤 점이 다른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 질문자가 고등학생인지라 너무 어려운 설명은 이해하기 힘들 것 같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주공명실험에서 소리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관의 길이를 변화시키지 않는 이유는 소리의 높낮이와 소리의 크기는 서로 다른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인 악기에서는 소리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관의 길이를 변화시키지만 기주공명실험에서는 소리의 크기만을 측정하기 때문에 관의 길이를 변화시키지 않습니다. 소리의 크기는 공기를 불어넣는 양과 소리굽쇠 혹은 부저를 가까이 대는 위치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관의 길이를 변화시키지 않아도 소리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소리의 크기만을 측정하는 것은 소리의 높낮이와는 다른 개념이기 때문에 관의 길이를 변화시키지 않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팬플룻이나 리코더와 같은 악기와 기주공명 실험에서 관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방식은 유사하지만, 그 목적과 발생하는 현상은 다릅니다. 두 경우 모두 관 내에서 공기의 진동(소리)이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악기에서는 음의 높낮이(진동수)를 조절하는 반면, 기주공명 실험에서는 소리의 크기(강도)를 조절합니다.

    악기에서의 소리 변화

    - 팬플룻이나 리코더: 이러한 악기에서 소리는 연주자가 공기를 불어넣음으로써 생성됩니다. 관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손가락으로 구멍을 막음으로써, 관 내의 공기 열의 길이가 변하고, 이에 따라 공기의 진동수(주파수)가 변합니다. 진동수가 변하면 소리의 높낮이가 변합니다.

    - 소리의 높낮이 조절: 악기에서는 다양한 음을 내기 위해 진동하는 공기의 길이를 조절합니다. 이를 통해 다른 음높이의 소리를 만들어냅니다.

    기주공명 실험

    - 기주공명 실험: 이 실험에서는 관의 한쪽 끝에 소리를 내는 장치(예: 부저)를 놓고, 다른 쪽 끝을 열어두거나 막아서 관의 길이를 조절합니다. 이렇게 해서 특정한 길이에서 소리의 강도가 가장 크게 들리는 지점을 찾습니다. 이 지점은 공명이 일어나는 지점입니다.

    - 소리의 강도 조절: 공명 실험에서는 소리의 높낮이(진동수)를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관 내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강도를 최대화하는 관의 길이를 찾습니다. 공명 지점에서는 소리의 진폭이 최대가 되어 소리가 가장 크게 들립니다.

    차이점

    - 공기의 역할: 악기에서는 연주자가 직접 공기를 불어넣어 소리를 생성합니다. 반면, 기주공명 실험에서는 소리를 내는 장치(부저)가 공기를 진동시킵니다.

    - 진동수 vs. 강도: 악기에서는 소리의 높낮이(진동수)를 조절하는 반면, 기주공명 실험에서는 소리의 강도(진폭)를 최대화하는 공명 지점을 찾습니다.

    - 악기의 음높이 생성: 악기에서는 공기의 진동수를 조절하여 다양한 음높이를 만들어냅니다.

    이러한 차이점은 각각의 목적과 작동 원리에서 기인합니다. 악기는 음악을 연주하기 위해 다양한 음높이를 생성하는 반면, 기주공명 실험은 소리의 강도를 최대화하는 공명 현상을 관찰하기 위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주공명실험에서는 관의 길이를 변경해서 공명을 관찰합니다.

    관의 길이가 변경되면 그 길이에 맞는 소리의 주파수가 공명되어서 그 소리가 크게 들립니다.

    공명현상은 관의 길이가 특정 길이일 때 진동수의 소리가 관 내부에서 공명해서 소리의 크기가 커집니다.

    소리의 높이를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소리의 진동수에 잘 맞는 관을 찾는 것이 실험의 목적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