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릴때, 짜증내면서 공부하는 아이.
졸릴때 꼭 짜증내면서 공부하고, 오답이 많아지면 스트레스를 받아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약간 잠으로 체력을 보충하고 하는게, 장기적으로 좋은 방법 아닌가요?
아이가 졸릴 때 짜증을 내면서 공부를 한다면 어떻게 반응하면 좋을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어떻게 보면 피곤과 스트레스로 인한 자연스러운 반응일 수 있겠습니다.
이럴 때는
충분한 휴식 제공, 공부 시간 조정, 짧고 집중적인 학습 세션(예 25~30분)설정 후 휴식
긍정적인 환경 조성, 아이의 감정 공감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졸릴 때 짜증을 내는 아이라면
학습은 푹 쉬고 나서 진행을 하도록 해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에게 필요로 하는 것은 쉼 입니다.
즉, 휴식 + 쉬는 시간이 필요로 합니다.
학습도 약간의 텀을 가지고 진행을 하는 것이 좋아요.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는다 라면 아이의 스트레스의 피곤함의 원인 중 수면 부족 이라면 아이의 수면의 질을
개선시켜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어른이나 아이이나 모두 피곤하면 업무에 집중을 할수 없거나 공부에 집중하기 매우 어렵습니다
그래서 저녁에 일찍 잠자리에 드는 것이 무척이나 중요 합니다
중간 중간 잠을 자는 것보다 저녁에 충분하게 잠을 자는 것이 더 좋은 방법 입니다
저녁에 일찍 잠자리에 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어쩔수 없는 경우라면 낮에 잠이 올때 약간씩 자는 것이 좋아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졸릴 때는 그냥 자는 게 좋은 방법이 맞는 거 같습니다.
어자피 졸린 상태에서는 공부를 하더라도 효율이 떨어집니다.
졸릴 때는 잠깐이라도 자는 것이 효율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네, 맞습니다. 아이가 강박이 있어서 반드시 끝내야 한다고 생각하는 시간 등이 있거나 한다면, 계속 하려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그때에는 아이가 조금 더 쉬게 만들어 주시고, 자게 해서 아이의 컨디션이 좋을 때 다시 공부하도록 해 주시는 게 아이에게도 더 도움이 됩니다. 특히 아이가 더 학년이 높아지면 입시에 대한 부담으로 더 자신을 무리하게끔 하는 경우도 있어서 그 부분에 대해 주의를 해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졸릴때 짜증내면서 공부하게되면 효율이없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좀 자고 나서 공부를 시작하는게 더 효율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