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희망은좋은것이죠
희망은좋은것이죠22.12.29

경제용어 중에 경상수지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경제용어를 공부하고 있는 도중에 경상수지라는 용어를 발견했는데요. 뉴스에서도 이 단어를 많이 봤는데 이 경상수지라는 경제용어는 어느 때 쓰고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국제수지와 한국수지 이렇게도 분류하던데 나라마다 또 다른가요? 경상수지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상수지는 국가간에 상품, 서비스의 수출입이나 자본 노동등의 생산 요소의 이동에 따른 대가를 종합적으로 나타낸 것인데 쉽게 생각하시면 우리나라가 다른 국가와 여러가지 거래를 하게 되었는데 이 거래를 통해서 얼마나 돈을 얻게 되었고 혹은 돈을 잃게 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라고 보시면 됩니다. 즉 해외에서 수입한 물건보다 수출한 물건들의 가격이 많으면 경상수지가 흑자가 난 것이며, 해외로 판 물건들의 가격보다 수입한 물건의 가격이 많으면 적자가 났다고 말하게 됩니다.

    이 경상수지를 구성하는 항목은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3가지로 구성이 되며, 상품수지는 해외와의 '물건'거래를 통해서 발생하는 것이며, 서비스수지는 우리나라 국민이 해외로 나가서 사용한 금액과 해외국가의 국민이 우리나라로 와서 사용한 금액들의 차이와 여러가지 선박이나 보험료와 같은 서비스 이용요금을 포함해서 말합니다. 그리고 본원소득수지는 우리나라 국민들이 해외에서 받은 이자나 배당을 받은 금액과 해외국민이 우리나라에서 받아간 배당이나 이자금액이 큰지의 여부에 따라서 결정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선 경상수지는 상품 및 서비스 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 3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경상'이란 국가경제 전체적으로 일어나는 거래를 말합니다. 즉, 국민들이 해외여행을 가거나 외국기업이 국내 기업에 투자하는 일처럼 돈이 오고가는 모든 활동을 포함하죠. 반면 자본수지는 한 나라의 거주자가 비거주자에게 금융자산을 매매하거나 대출함으로써 발생하는 수입과 지출을 기록한 통계치입니다.

    또한 국제수지는 일정기간 동안 한 나라 거주자들 간에 발생한 모든 대외거래를 체계적으로 기록한 통계표이고, 한국수지는 우리나라 거주자들이 외국과의 거래관계로부터 수취한 외화와 지급한 외화와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기록한 통계표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29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상수지란 외국과 물건(재화)이나 서비스(용역) 등을 팔고 산 결과를 종합한 것으로 외국과 실행한 거래결과 벌어들인 수입에서 지출을 차감한 금액을 말합니다. 이는 국가 간 상품 및 서비스의 수출입, 자본ㆍ노동 등 생산요소의 이동에 따른 대가의 수입과 지급을 종합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국제수지를 이루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소득수지, 경상이전수지의 4가지로 나뉩니다. 이를 간략히 살펴보면, 상품수지는 상품의 수출입거래에서 발생하는 국제수지로서 상품의 수출액과 수입액의 차액을, 서비스수지는 외국과의 서비스의 수출액과 수입액의 차액을, 소득수지는 외국과 거래에서 노동소득이나 투자소득으로 벌어들인 돈과 나간 돈의 차액을, 경상이전수지는 무상원조 등 대가가 따르지 않는 국제거래 수지를 말하버다. 경상수지를 포함한 국제수지는 매월 한국은행에서 작성하여 공표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상수지란 국가 간 상품 및 서비스의 수출입, 자본 노동 등 생산요소의 이동에 따른 대가의 수입과 지급을

    종합적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국제수지'를 이루는 중요한 요소이며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소득수지, 경상이전수지 등으로 구분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상수지란 ‘경제적으로 항상 있는 일로 발생한 수지타산’을 뜻 합니다. 경제적으로 항상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당연히 물건이나 서비스를 사고파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서 우리나라가 외국에 산 물건보다 팔아먹은 물건이 많으면 경상수지가 흑자 났다고 하고, 팔아먹은 물건보다 사들인 물건이 많으면 경상수지가 적자 났다고 합니다.

    경상수지를 구성하는 세부 항목으로는 상품수지와 서비스수지, 그리고 본원소득수지와 이전소득수지가 있습니다. 상품수지는 경상수지를 구성하는 여려 요소 중에서 가장 중요한 놈입니다. 상품이라는 말이 상징하듯이 이쑤시개, 이태리타월 같은 각종 상품을 사고팔아서 얼마나 남겨 먹었나를 따진 것입니다.

    서비스수지는 각종 서비스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발생한 수지타산을 따진 것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사람이 해외여행을 가서 쓴 돈이 많은지, 아니면 외국인이 우리나라에 와서 쓴 돈이 많은지를 계산한 것이 서비스수지입니다. 물론 해외여행만 서비스수지에 포함되는 것은 아닙니다. 선박 사용료, 비행기 사용료, 보험료 같은 것들을 모두 체크해서 계산하는 것이 서비스수지입니다.

    본원소득수지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외국에서 받아 챙긴 각종 이자나 배당이 더 많은지, 아니면 해외에 준 이자나 배당이 많은지를 계산한 것입니다. 이전소득수지는 아무런 대가 없이 오고 가는 돈, 쉽게 말해서 원조를 누가 더 많이 받았는지를 따져서 계산한 것입니다.

    일정기간 동안 발생한 항목별 외화유출입 현황을 정리한 것을 국제수지(balance of payment)라고 합니다.

    한국 수지 라기보다는 한국의 국제수지, 일본의 국제수지 이런 식으로 표현합니다.


  • 안녕하세요. 장상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상수지(經常收支, current account balance)는 용어의 의미로 보면, 수입과 수출의 통상적인 경제결과 정도가 될텐데요.

    경상수지는 무역을 통해 사고 판 결과를 계산한 것입니다.

    외국 자본이 유입되는 것은 계산하지 않는 데, 자본 유입과 유출은 자본수지로 구분됩니다.

    경상수지에는 상품수지가 있는 데, 이는 일반적인 상품의 수출입을 통계낸 것이고,

    서비스수지도 있어서, 운송, 여행, 금융, 지적재산권사용료 통계,

    본원소득수지라고, 국내외 노동자의 임금 소득과 투자 소득 통계,

    이전소득수지는 개인 송금, 기부, 원조 등의 통계입니다.

    경상수지(경제에서 항상 일어나는 수입, 수출 통계)는 경제발전 추이를 확인하여 경제 정책의 수립과 평가에 이용되죠.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쉬운 이해로 설명드리면 해외와 거래를 수치 나타내는 종합 지수입니다.

    상품(무역) 수지 - 흔히 아는 상품들 수출입을 +-계산하여 나타내는 수지 입니다. 뉴스에서 컨테이너 박스 많은데 보셨죠?

    서비스 - 해외 서비스를 주고 받고 나오는 수치 (예: 배송 서비스)

    소득 - 해외에서 한국인이 벌어들이는 소득, 반대로 외국인이 한국에서 벌어들이는 소득의 차

    기타이전 - 해외동포, 기타 사회단체가 기부해서 보내오는 돈이나 나가는 돈

    종합하여 경상수지가 +이면 경제상황이 긍정적 -이면 부정적입니다.

    도움이되셨다면 추천,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상수지의 경우 국가 간 상품 및 서비스의 수출입, 자본 노동 등 생산요소의 이동에 따른 수입과 지출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국제수지는 경상수지에 금융지표가 추가적으로 포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