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신중투자
신중투자
23.10.23

앞으로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50대초반의 남성입니다. 요즈음 대출을 좀 받아서 대출이자가 걱정입니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어떻게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시크한오리233
    시크한오리233
    23.10.24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우리나라의 경제상황이 그리 좋지않아 기준금리를 올리는 선택에 엄청나게 신중함을 보일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미국의 금리인상 정책에 따라 금리역전 현상이 심화되고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 사실만으로 우리나라의 금리를 올리는 선택을 하기란 쉽지 않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방향성은 미국을 보면서 갈 수 밖에 없기는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부채 비율이 매우 심각하기 때문에 미국이 기준금리를 0.5%이상을 한번에 올리지 않는 이상은 지속적으로 동결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에요. 하지만 기준금리 동결이 된다고 해서 시장의 금리가 동결이 되는 것은 아니다 보니 대출금리는 조금씩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10.24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올해 늦어도 내년초까지는 현재상태를 유지할것 같습니다. 그이후 미국 금리등 검토하여 단계적으로 내릴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이창용 한은총재의 발언을 종합해봄녀 급격한 가계부채 증가하지않는 한 금리는 동결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앞으로 우리나라는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을 것으로 보이며

    미국이 한차례 인상한다면 우리나라도 올릴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한 차례 더 동결되었습니다.

    다만, 가계 빚이 늘어나는 상황이며, 가계 빚이 줄어들지 않는 경우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 있음을 한국은행 총재님께서 경고를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는 3.5%이나

    얼마전 한국은랭 총재는 3.75%까지 인상될 여지가 있음을 밝힌바 있습니다.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대출금리도 상승할 수 있는점 참고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3.5%로 지속 동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창고로 2023년 10월 24일 기사 "한국은행, 11월 금통위서 기준금리 동결 전망" 기사가 나왔고 이를 요약해 보면, 한국은행은 11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3.5%로 동결할 것으로 전망되며 인플레이션 압력과 경기 침체 우려가 공존하는 가운데, 경기 부양을 우선시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합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요인으로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를 꼽았습니다. 현재 한국의 물가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경기는 성장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이러한 상황에서 경기 부양을 우선시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경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은 물가안정과 경기관리를 목적으로 금리를 결정합니다.


    물가는 유가상승, 환율상승으로 단기 하락보다 단계적인 하락으로 내년 상반기 이후 목표수준이 2프로대가 될 것입니다. 경기는 체감경기, 실물경기 침체상태로 잠재성장율인 2프로를 올해는 밑돌 것으로 전망됩니다.


    따라서 물가를 보면 내년 하반기 이후 금리 인하가 가능하겠으나 선거를 앞두고 경기부양의 정책적 필요성도 있으니, 내년 상반기 예고 후 금리인하 진행가능성도 있습니다.


    미국이 금리를 계속 올리거나 내리지 않는데 우리나라만 먼저 금리를 내리기 시작하면 부작용에 대한 비판이 거세질 수 있으니 대외변수에 대한 고려도 클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