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진리의 샘
진리의 샘23.03.02

건축 용어 중에 용적률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요?

건설 회사가 건물을 짓기 위해서는 용적률을 고려해야 한다고 합니다. 용적률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왜 용적률이 중요한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2

    안녕하세요. 박어상 공인중개사입니다.

    건축에 있어서 건폐율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물의 1층 바닥면적의 비율을 말합니다

    한편 용적율이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물의 연면적의 비율 즉, 바닥면적의 합계를 말합니다.

    용적률은 부지면적에 대한 건축물 연면적의 비율로서, 건폐율과 함께 해당 지역의 개발밀도를 가늠하는 척도로 활용됩니다.

    예를들어 100평의 대지에 30평의 건축물을 4층으로 짓게되면 용적율은 120%가 됩니다

    용적률을 산정할 때에는 지하층의 면적, 지상층의 주차용(해당 건축물의 부속용도인 경우만 해당)으로 쓰는 면적 등은 제외합니다.

    결국 용적율이 높다는 말은 건축물의 높이를 높게 지을 수 있다는 말이 되고 사업성이 띄어나고 일반분양가구수가 많아져 수익성이 높다는 말이 되겠습니다.

    그러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거 도시관리계획으로 용도지역별로 용적률의 최대한도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이란 간단히 설명하면 대지면적(=토지) 위에 얼마나 많은 공간을 만들수 있는지 계산하는 것입니다.

    예컨대 100평짜리 땅에 1개층이 50평인 10층 짜리 건물을 생각해보면

    100평 땅을 샀지만 실제로는 50평x10층=500평의 가치가 있게 됩니다. 용적율 = 500% = 5배

    이런 점에서 용적율이 높다는것은 그 땅에 대한 가치가 높다고 이해하면 됩니다

    그래서 재건축 재개발시 용적율을 최대한 높게 허가 받으려고 노력합니다.

    그러면 땅의 가치도 올라가기 때문이죠.

    용적율이 높아야 높이 건물을 지을수 있고 많은 사람에게 분양할수 있어서

    건축회사도 좋고 땅주인도 좋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서주환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율은 지역별, 물건별 차이가 있습니다.

    용적율이 높을수록 높게 건물을 지을수 있기에 수익적인 측면에서 좋다고 볼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용적율이 500%라면 100평의 건물을 5층까지 지을수 있다는 뜻이며, 300%라면 3층까지 지을수 있다는 뜻 입니다.


  •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100평의 땅이 있습니다.

    그중에 50평의 땅에 건물을 짓습니다.

    1층으로 지으면 연면적이 50평입니다. 용적률은 50%입니다.

    2층으로 지으면 연면적이 100평입니다. 용적률은 100% 입니다.

    3층으로 지으면 연면적이 150평입니다. 용적률은 150% 입니다.

    용적률이 높아질수록 건물을 높게 지을 수 있습니다.

    높게 지으면 팔 수 있는 집이 많아지고, 임대를 줄 수 있는 부분이 많아지니 수익이 좋아집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이란 대지면적에 대한 건물의 연면적 비율을 말합니다.

    아파트, 주택 상업용건물등을 보면 쉽게 이해 하실 수 있습니다.

    건물의 높이를 보면 알 수 있을 겁니다. 동일한 면적에 건물을 신축하더라도 용적률이

    높으면 건물을 높이가 높아지고 사업성은 좋아지나 동간격이 좁아 일조량 나 채광, 통풍등이

    양호하지 못해 불편함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은 각층의 바닥면적을 더한 연면적을 부지면적으로 나눈 값입니다. 쉽게 용적률이 높을수록 건물바닥 면적으로 사용가능한 면적이 커지고 이는 곧 건물의 층수를 결정하게 됩니다. 결국 용적률이 높을 수록 해당 건물의 층수는 높아질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정섭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이라는 개념은 아파트가 한참 들어서기 시작하고 중요해졌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토지 때문입니다.

    용적률의 사전적 개념은 건물의 연면적을 땅의 넓이로 나눈 비율이라고 정의하는데, 아파트를 건설하기위해서는 아파트를 건설할 땅이 있어야합니다다. 연면적이라하면 층수 마다의 모든 면적을 합하여 계산한다. 바로 아래와 같은예시를 들어보면

    땅이 하나가 있고, 100평이라고 가정합니다. 그리고 1층짜리 건물 하나가 있다고 가정하고, 이 1층짜리 건물의 바닥 넓이는 50평입니다. 그렇다면 건물의 연면적은 50평이되는 것이며, 땅의 넓이는 100평이 되는것입니다.


  • 용적률이란 대지면적에 대한 연면적의 비율을 말합니다.

    지하층, 지상층의 주차용(해당건축물의 부속용도인 경우만 해당), 주민공동시설 면적, 피난안전구역은 용적률 계산에서 제외됩니다.


    즉, 용적률이 높을수록 건물을 높게 지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