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흐로 라는 단어는 언제부터 사용되었나요 ?
소설 책이나 수필같은것 들을 보면 바야흐로~ 이런 단어가 있던데 바야흐로 라는 말의 뜻은 무엇이고 언제부터 사용하게 된건가요 ? 생겨나게된 유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바야흐로의 뜻은 <이제 한창,또는 지금 바로>라는 말로 설명 할 수 있습니다.
바야흐로의 유래를 알아보자면
15세기~18세기때는 뵈야 ㅎ로, 보야 ㅎ로,
17세기~18세기때는 ㅂ 야 ㅎ로 , 비야 ㅎ로,
17세기~19세기때는 ㅂ야흐로,
18세기~현재 바야흐로로 사용되어오고 있다고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바야흐로
발음 [ 바야흐로 ]
어원 / <야흐로<야로/야로<보야로<능엄경언해(1461)>/뵈야로<석상>
부사 / 이제 한창. 또는 지금 바로.
때는 바야흐로 만물이 소생하는 봄이다.
바야흐로 눈이 녹아내려 지붕에서는 낙수가 뚝뚝 떨어지고, 길과 마당은 질퍽거리며…. <<안회남, 농민의 비애>>
아내를 맞아들인 다음 내 것이다 하고 채취선을 한 척 마련해서 살아 보겠다 했던 소망이 바야흐로 이루어지는구나 싶었다. <<한승원, 목선>>
여름철엔, 파릴 날렸던 창윤이네 국수 영업도 이제 바야흐로 경기를 회복하고 있었다. <<안수길, 북간도>>
잘못된 표현/ 바야으로
[출처 : 표준국어대사전]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제 한창. 또는 지금 바로 라는 뜻을 가진 순 우리말 입니다. 한자어가 아니라 조선시대 떄 부터 써오던 말이라고 추정 됩니다
예문) 시절은 바야흐로 만물이 소생하는 봄이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바야흐로 의 뜻은
바야흐로 품사는 부사로써 이제 한창 또는 지금 바로 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보통 시간적 의미의 곧 이라는 의미로 사용할 때 해당 어휘를 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