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로맨틱한관박쥐102
로맨틱한관박쥐10220.08.22

주식 손절은 몇프로 까지가 적당할까요?

예전부터 가지고 있던 주식이 있는데 손해가 막심합니다

전에 뺄려고 했는데 쉽게 마음을 정하지 못해서 심각한

지경까지 왔네요

주식을 잘 하시는 분들은 손절매를 몇프로 까지 보시고

매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기계적인 손절라인 말씀하시는것 같네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개인마다 손절라인에 차이가 있어서 몇프로가 적당하다고 말씀드리기는

    어려울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5%로 정해놓아서 마이너스 5%에 손절하였는데 마이너스 6% 까지 갔다가 반등할수도 있고,

    10%로 해놓았는데 9%에서 반등할수도 있겠죠..

    그 반대일수도 있구요.

    그래서 운용하시는 자금에 맞게 손절라인을 정하시는게 나을것 같습니다.

    고래택님의 심리가 마이너스 20%에도 견딜수있다면 그렇게 정하실수도 있겠지만

    약손절의 원리는 가능한 시드를 보호하는데 있기때문에 10% 안쪽으로 정하시는게 나을것 같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손절라인은 있지만 그것보다 매매를 할때 매수한 주식에 물탈수 있는 충분한 시드를 남겨놓은 후

    진입합니다. 예를들어 100만원을 운용할수 있다면 40만원 정도만 매수를 하고 나머지 60만원은 하락을 대비해

    남겨놓는거죠. 물탈수있는 금액이 있어야 하락에도 빠져나오기 쉽습니다.

    반대로 40만원 들어갔는데 상승한다면 일명 불타기를 해서 수량을 늘릴수 있습니다.

    다만 올인했을때보다는 수익이 적을수 있지만 그 피해도 적습니다.

    신중한 투자하셔서 수익 많이 내시길 바랍니다.


  • 손절매 기준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제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스켈핑(초단타)은 손절라인 3%

    단기, 장기 투자는 손절라인 5% 잡고 있습니다

    장기투자는 회사의 비전이 없으면 절대 물타기 하지 말고 유망한 종목으로 교체하는게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다른 사람의 기준을 따라하기 보다는 본인의 상황(돈과 시간)에 맞게 기준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 예전부터 가지고 있던 주식이 있는데 손해가 막심합니다

    전에 뺄려고 했는데 쉽게 마음을 정하지 못해서 심각한

    지경까지 왔네요

    주식을 잘 하시는 분들은 손절매를 몇프로 까지 보시고

    매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보통은 주식 하시는분들 보시면 -5% 전까지는 다 손절치시던데요

    물런 총매입금액에 따라 다르긴 합니다만,,


  • 주식을 사는 것보다 파는 것이 어렵다는 말이 있습니다. 주가가 오르면 더 오를 것 같아서 팔지 못하고, 내려가면 다시 오를 것 같아서 팔이 못하기 때문인데요. 질문자님 말씀처럼 자신만의 손절 비율을 설정해 놓는 것이 좋습니다.

    투자 대가들은 대체로 5~10%선으로 보고 있어요. 그런데 이 수치도 자신이 가진 전체 금액에 대한 수치가 아니라 확답을 드리기 힘드네요. 예를 들어 A투자자는 자신이 가진 돈의 30%를 먼저 매수하고 손절은 10%로 설정합니다. 그리고 주가가 10%가 떨어지면 매도를 하는데 전체 금액의 30%에서 10%의 손실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손실은 -10%가 아니라 -3%가 되는 셈입니다(전체 금액 100원에서 30원 주식 매수, 10% 손실일 경우 -3원 손해, 전체금액 100원에 대해서는 3% 손실). 이런 식으로 손절 비율도 중요하지만 분할 매수도 중요하기 때문에 두 방법을 병행해서 투자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최근 주식시장이 좋아서 많은 분들이 투자에 참여하고 있는데 이럴 때일수록 분할 매수로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합니다. 또한 자신이 설정한 손절타이밍은 무슨 일이 있어도 지킨다는 의지가 있어야 하고요. 자신의 원칙과 운이 잘 따라서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


  • 저는 개인적으로 퍼센트를 따져서 빼기보다는 기대했던 호재나 실적 등에 악재가 생기면 손절칩니다.

    악재가 있는게 아니면 큰 폭으로 빠지지는 않습니다.

    세력이 장난친다해도 시간이 지나면 왠만큼 복구되구요.

    보통 큰 악재없이 많이 빠지는 경우는 기대감만으로 오른 주식을 고점에서 구매한 경우라 매수점을 신중하게 잡으시는게 더 중요하다 봅니다.


  • 주식투자에서 손절이 중요하긴 하지만 어떤산업이냐 어떤종목이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리고 단기적이냐 장기적이냐에 따라 또 달라지고요.

    장기적인관점에서 보면

    만약 기업에 악재로 인해 굉장히 위험한 지경 (배임,횡령,소송,업군자체 매출감소 등등 )이라면 거래정지 또는 상폐의 위험도 있기 때문에 손절하시는게 좋고요.

    그게 아니고 당장의 산업군위축이나 이유없는 하락의 경우에는 오히려 추가매수를 하는게 지금까지 봐온 현명한 결과도 생각됩니다.

    질문자님의 업황과 산업,기업에 대한 뉴스를 찾아보시고 그것을 바탕으로 주식담당자와 통화하고 결정하심이 좋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