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가 심각한 상황이라고 하는데 맞는건가요?
우리나라 가계 부채가 심각한
상황이라고 하는데 맞는건가요?
주택담보대출은 규제가 있는걸로
아는데 그럼 다른 가계 대출이
늘어난건가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747166
50년 만기 주담대, 한 달 만에 1조 2천억 원 몰려…우리은행도 출시-
다시 빚내서라도 사라고 한도를 늘려주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로나 시기에 금리가 낮아지게 되면서 사람들이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규제는 많았지만 신용대출에 대한 규제가 낮아서 신용대출을 많이 받았던 것이 지금은 금리가 높아져서 부담이 큰 대출이 되었다고 보시면 되요. 코로나 시기동안 늘어난 가계부채의 규모는 대략 12%정도라고 해요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2년 5월의 대한민국 가계부채는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말 가계신용 잔액은 1862조1000억원으로 전년보다 7.8%(136조원) 늘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전인 2016년과 비교하면 519조6000억원 증가했다. 해마다 평균 100조원 이상 가계부채가 증가한 셈이다.
경제규모 성장과 함께 가계빚은 자연스럽게 증가하지만 속도가 문제다. 2020년 처음으로 GDP(국내총생산)보다 가계부채가 더 많은 상황에 이르렀고, 지난해 GDP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6.1%로 집계됐다. 5년 사이 18.8%포인트 상승했다. 비율과 증가속도 모두 세계 최고 수준이다.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가계부채가
OECD 가입국가 중에서 최고수준인 등
하기 때문에 다소 불안감이 상당한 것도 사실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계부채란 쉽게 말해서 한 가정의 부채총액인데
우리나라는 5천만 원을 넘어서면서
OECD국가들 중에서도 위험국으로 분류되는 실정입니다.
주담대가 한 원인입니다만, 최근 정부가
특례보금자리론에 이어 50년주담대까지 만들면서
더 급격히 증가한 상황입니다.
이에 정부에서도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나이제한 등의 규제방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의 가계부채 상황은 심각한 수준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1년 3/4분기말 기준으로 가계부채(가계신용통계 기준)는 2010년말의 843.2조원에서 1,844.9조원으로 두 배 이상 확대되었습니다.
또한, 2021년 3월말 기준으로 한국의 명목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4.9%로, 명목GDP(2020년) 상위 30개 주요국 평균(63.2%)을 크게 상회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가계부채 규모가 국가 경제 규모를 고려할 때 세계 37개국 중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로나 팬데믹 이후 가계부채 증가 속도 역시 가장 빨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