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라울곤잘
라울곤잘23.04.07

초등학교1학년 딸아이 말대꾸는 어떻게 교육해야 할까요?

이번에 초등학교에 입학한 딸 아이가 말대꾸가 심해 졌는데요.

예전에는 안 그랬는데, 학교에 다니면서 심해졌습니다.

말을 하면 거기에 대답을 하는 것이 아니라 말대꾸를 하는데 어떻게 교육을 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대들더라도 말을 안하는 것보다는 말하는 것이 훨씬 낫습니다. 속상하거나 억울한 일이 있어도 말하지 못하거나 혹은 말하지 않는 자녀가 더 큰 문제임을 인지하시면 좋겠습니다.

    자녀가 말하는 내용이 마음에 들지 않거나 태도가 마치 대드는 것 같더라도 끝까지 들어줘야 합니다. 중간에 아이의 말을 끊고 평가해서는 안됩니다. 아이의 말을 들어주지 않고 지나친 복종만 강요하면, 아잉가 '네'라고 대답하더라도 그것은 그저 상황을 무마하기 위한 것일뿐입니다. 아이의 감정을 수용해 주어 정서적 안정감을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자신이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해도 부모가 안정적으로 들어줄 거라는 믿음을 주어야 합니다. 그러면 갈수록 말대꾸가 줄어듭니다.

    아이가 말도 안되는 이유로 말대꾸를 해도 일단은 다 들어줍니다. 그 다음에는 지침을 줘야 합니다. 지침은 열 단어 이하로 짧고 간결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와 대화를 하거나 지침을 할 때는 아이가 들어줄 수 있는 상황 , 평온한 상황에서 대화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 말씀처럼 예전에는 그렇치 않았는데 초등학교에 들어가면서부터 아이가 말대꾸를 하기 시작했다면

    아이도 심리적으로 불안한 상태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학교 생활에 대해 관심 가져 주시고 필요하다면 선생님과 상담도 해 보기 바랍니다.

    아이가 말대꾸를 한다고 혼을 내기 보다는 바른 표현법을 지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는 어떤 부분이 부모님께서 화가 나는지 잘 모를 것 같습니다 아이에게 상황에 맞는 말을 알려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말대답을하는것은 그만큼 자신의 의견이 강하기 떄문입니다

    이러한것을나쁘게 보기보다는 아이가 자신의 의견을 잘말하는것으로 생각해주는 것이좋으며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며 차분하게 이야기해주시는것이 좋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07

    안녕하세요. 권미정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말대꾸는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잘못 이해하거나 그에 대한 불안감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말대꾸를 한 이유를 파악하고 그에 대한 대처방법을 함께 교육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는 말대꾸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 몇 가지입니다.

    1. 이해와 공감: 딸 아이의 말대꾸에 대한 이유를 파악하고, 그녀의 감정을 이해해 주세요. 그리고 그녀가 이해받을 수 있도록 명확하게 대화하세요.

    2. 모범 설정: 집안에서 예의 바르고 존중하는 대화를 보여주세요. 부모님이 모범이 되어야 자녀도 모범을 따를 수 있습니다.

    3. 대화 습관: 딸 아이가 말대꾸를 하더라도 부드럽고 친절한 대화를 유지해주세요. 대화에 대한 습관을 만들면 말대꾸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4. 긍정적인 강화: 딸 아이가 대화를 잘하는 경우 칭찬해주세요. 이러한 긍정적인 강화는 말대꾸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5. 규칙적인 일정: 일정한 루틴을 유지하면 딸 아이가 불안감을 덜 느끼게 됩니다. 일정을 관리하면서, 예를 들어 가족이 함께 먹는 식사나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6. 협동 게임: 딸 아이와 함께 협동 게임을 즐기면 상호작용과 함께 대화 습관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말대꾸 교육은 지속적인 노력과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자녀와 함께 노력하면서 서로에게 더 적극적으로 대화를 이어 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말대꾸를 하는 아이에게는 단호하고 강력하게 일관된 양육태도로 하면 안된다고 이야기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말대꾸를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마시고

    최대한 긍정적언어를 꾸준히 사용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때때로 말대꾸 하는 것으로 마음이 상했거나 기분나빳던 일이 생긴다면

    아이에게 솔직하게 얘기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가급적 아이의 관심과 흥미위주의 이야기를 나누며 긍정적인 대화를 이어나가보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말대꾸를 자주 하는 아이에게 말대꾸를 하지 못하게 하면, 아이의 반항심은 늘어날 것입니다.

    부모님께서 바른 언어 지도를 하면 될 것 같아요.

    이렇게 말해 보면 어떻겠니? 라고 올바른 표현법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말대꾸를 한다면

    우선은 아이에게 인성교육 및 예절교육을 먼저 시켜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나서 아이에게 어른이 물어보는 말에는 꼬박꼬박 말대꾸를 하는 것이 아니라 어른의 이야기가 마저 끝난 후에 자신의 의사를 표현 하는 것이라고 말하여 주세요,

    또한 아이에게 서열에 대한 의미를 알려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즉, 집안에 어른이 누구인지 알려주어서 아이가 어른에게 말대꾸를 하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지도하여 주세요.


  • 안녕하세요. 배유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예전과는 다르게 변화된 것은 그들이 학교에서 새로운 환경을 경험하면서 사회적으로 성숙해지는 과정에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왜 말대꾸를 하는지 이유를 파악하고, 그들이 어떻게 더 적극적으로 대화하고 대응할 수 있는지를 가르쳐줘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