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이 4.9%가 나왔다던데 세계경제에 영향을 줄수 있는 정도인가요?
오늘자 경제기사에서 중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이 우려와는 다르게 4.9%가 나왔고 이게 굉장히 좋은 수치라고 하던데
4.9%의 경제성장률이 나왔으면
일단 중국이 직면한 디플레이션에서는
조금 멀어지고 있다봐도 되나요?
중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 4.9%가
우리나라 경제에는 긍정적인 신호로 봐도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올해 중국이 보여준 4.9%의 경제 성장률은 로이터 통신과 블룸버그 통신이 집계한 전망치는 4% 였는데 그 보다 더 높은 수치 였습니다. 이러한 수치가 높게 나온 것은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 등이 효과를 거둔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수치가 우리 경제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 미지수 이지만 중국 경제가 살아 나면 대중국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나라이기에 좋은 현상으로는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ㅇ이 4.9%를 기록하였다는 것은 현재 중국이 성장세임을 나타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 수출 비중이 높기 때문에 중국 경기의 부활은 우리나라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미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예상치를 상회하였기에
우리나라의 수출도 중국에 대하여 상당히 많이 이루어져
우리나라에 호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3분기 중국 경제가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성장을 거두며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 달성 전망을 밝게 했다. 지난 7월 각종 경제지표가 저점을 찍은 후 중국 정부가 내놓은 경기 부양책들이 조금씩 효과를 거두며 경제 상황이 점차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중국수출비중이 큰 우리는 좋은 기회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4.9%로 생각보다 양호하게 나온 것은 중국이 지속적으로 금리를 인하하면서 누리는 효과인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중국이 반도체에 대한 내재화를 하고 우리나라 제품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고 있으며 부동산 시장에 대한 리스크가 여전히 높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그렇게 긍정적인 신호라고 보기는 힘들어 보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