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의미에서 현재 삼팔선과 휴전선은 동일한것인가요?
1945년 8월 15일에 해방을 맞이하고 북쪽은 소련, 남쪽은 미국이 군대를 이끌고 들어과 각각을 점령했습니다. 이때 38도선이 그어졌다고 알고있는데요. 저는 이게 휴전선이라고 생각을 해왔는데....역사적으로 서로 다른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팔선과 휴전선은 위치가 다릅니다.
삼팔선 : 일본 제국의 항복 직후인 1945년 8월에서 9월 사이 광복을 맞이한 조선에 미군과 소련군이 진주, 한반도를 분할 통치하기 위해 북위 38도 위선을 기준으로 설정한 경계선 입니다. 이는 군정이 끝나고 남북한 정부가 수립된 이후에도 실질적인 경계선 역할을 하다가 1950년 북한의 남침으로 무효화 되었으며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을 현재의 휴전선이 확정되면 역사 속으로 사라졌습니다.
휴전선: 6.25전쟁이 1953년 7월 27일 22시에 휴전됨으로써 한반도의 가운데를 가로질러 설정된 군사분계선 입니다.
휴전 또는 정전 시 대치하고 있는 양군의 태세를 고정화시키어야 전선에서 병력을 분리시키기 위해서 설정하는 기준선 이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해방 후 새로운 정부를 세우지 못한 한국에 미국과 소련이 우리나라를 점령하겠다며 군대를 보냈고 소련은 한반도 북쪽, 미국은 남쪽에 각각 군대를 배치합니다. 두 나라는 합의를 통해 38선을 긋고 북쪽은 소련, 남쪽은 미국이 장악하는데 이는 서로의 이익을 위해서였습니다.
소련과 미국은 자기들 마음대로 위도 38도를 경계로 한반도를 남과 북으로 나눠 이로 인해 일본의 식민지에서 겨우 벗어난 우리 민족은 또다시 나라가 두 동강나는 아픔을 겪게 되는데 38선은 한동안 남한과 북한의 경계선이 됩니다.
휴전선은 말 그대로 6.25전쟁이 멈춘 후 만들어진 경계로 38선에 비해 서쪽은 북한으로, 동쪽은 남한으로 조금 더 넘어온 상태로 휴전선이 그어졌습니다.
즉 38선과 휴전선은 다른 의미이며 위치도 조금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