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홀쭉한타킨이
홀쭉한타킨이23.03.15

영어의 소문자는 언제부터 쓰인건가요?

안녕하세요 홀쭉한타킨이11입니다.

영어는 원래 대문자만 쓰이다 후에 소문자가 만들어졌다고 하던데 정말인가요 그렇다면 언제 부터 소문자가 쓰인건가요 왜 소문자가 만들어진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15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오늘날 영어에 쓰이는 알파벳은 거의 대부분

    로마인이 사용하던 라틴어 알파벳에서 기원되었다고 합니다.

    알파벳은 처음에는 소문자가 없고 대문자만 있었습니다.

    정확히는 로마 필기체라고 소문자의 원형이 된 필기체가 존재했으나 공식 문서에서는 철저하게 대문자만 쓰고 있습니다.

    로마제국 말기에 양피지나 파피루스 필사본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로마 필기체에서 발전이 된 언셜체가 유행했는데 여기에서 소문자 체계게 천천히 단계적으로 발전하여 1300년대 이후부터 현재와 같은 소문자 체계가 정립되었습니다.

    출처: 나무위키 로마자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오늘날 영어에 쓰이는 알파벳은 거의 다 로마 인이 쓰던 라틴 어 알파벳에서 왔답니다.

    소문자가 없고 대문자만 있었습니다. 정확히는 로마 필기체라고 소문자의 원형이 된 필기체가 존재했으나 공식 문서에서는 철저하게 대문자만 쓰였습니다. 로마제국 말기에 양피지나 파피루스 필사본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로마 필기체에서 발전이 된 언셜체가 유행했는데 여기에서 소문자 체계게 천천히 단계적으로 발전하여 1300년대 이후부터 현재와 같은 소문자 체계가 정립되었습니다.

    출처: 나무위키 로마자



  • 알파벳은 일반적으로 이집트 문자와 수메르 문자의 영향을 받아 페니키아 인이 만들었다고 합니다.


    페니키아 문자는 그리스문자, 라틴 문자를 거쳐 오늘날의 형태로 발전하게 되는데


    가장 먼저 그리스인에게 전해졌고


    그리스인들이 그리스 말에 알맞는 글자를 더 추가해서


    새롭게 알파벳을 만들어 사용하였습니다.


    이후 페니키아/그리스가 로마에게 멸망당하고


    로마가 그리스의 알파벳을 받아들이게 되면서


    오늘날 알파벳과 비슷한 알파벳을 만들게 됩니다.


    현재 영어에 쓰고 있는 알파벳은 거의


    로마인이 쓰던 라틴어 알파벳에서 왔다고 보면 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옛날 옛적 사람들은 돌이나 벽에

    그림이나 글자를 새기거나 파피루스

    종이에 글을 썼는데 이 종이가 지금처럼 부드럽지가 않아 글쓰기가 힘들었다고 합니다. 돌이라든지 딱딱한 곳 위에 글을 쓰기에는 대문자와 같이 크고 글자의

    높낮이가 같은(ABCE...)글자가 쓰기

    편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영어는 처음에 대문자밖에 없었다고 하네요.


    그러다가 파피루스보다 더 부드러운

    양피지가 세상에 나옵니다.

    양피지와 함께 글자의 모양에 둥근형태가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즉, 둥근 형태의 글씨는 읽기 쉽고

    글쓰는 속도를 더 빠르게 해 줍니다.

    이게 바로 필기체이고 필기체에서

    소문자가 진화하여 나옵니다.

    소문자는 대문자에 비해 글자가 작고

    빨리 쓸 수 있어 글쓰는 시간을 줄여주고 글쓰는 종이의 공간을 줄여주어 대문자보다 소문자를 주로 쓰게 됩니다.

    -출처: 티스토리




  • 안녕하세요. 영어에서 소문자는 대문자보다 훨씬 늦게 도입되었습니다. 초기 영어의 모든 글자는 대문자로 쓰였습니다. 이것은 영어의 어원이 라틴어와 같은 로마 자모체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로마자는 모두 대문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초기 영어도 대문자로만 쓰였습니다.

    그러나 중세 시대, 필사본 작성을 위해 새로운 글자체가 필요해졌습니다. 이때 새로운 글자체에서 대문자와 소문자가 처음으로 나뉘어졌습니다. 8세기 후반부터 9세기 초반부터 소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소문자는 대문자보다 더욱 자연스러운 글쓰기를 가능하게 하고, 더욱 다양한 글자들의 조합이 가능해져서 많은 발전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현재 영어에서는 대문자와 소문자가 모두 사용되며, 대문자는 보통 문장의 첫 글자나 이름, 약어, 제목 등 특정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로마자보다 약간 늦은 시기인 9세기와 10세기에 그리스 문자에서도 오늘날 그리스 소문자의 기원이 되는 필기체가 등장했습니다. 소문자가 생긴 이유는 빨리 글을 쓰기 위해 필기체와 함꼐 등장했다고 보여 집니다. 그리고 로마자의 영향을 받아 오늘날처럼 가독성 향상을 위해 구분하여 쓴다고 합니다. 그리스 문자를 받아들이고 변형한 키릴 문자에서도 대소문자 구분되어 집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문자가 생긴 이유는 필기 편의를 위해서입니다.

    본래 대문자만 쓰이던 시절인 고대에는 대체로 기록을 점토판 등 딱딱한 재질의 기록매체에 남겼기 때문에 곡선 등을 그리는 것이 매우 어려웠고 따라서 문자가 직선 위주로 만들어졌으나 파피루스, 양피지 같은 부드러운 재질의 기록매체가 생기자 곡선을 그리는 것이 쉬워졌고, 빠르게 필기하기 위해 곡선을 많이 써서 획수를 줄일 필요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로마자의 대문자-소문자 체계는 프랑크 왕국의 카롤루스 대제 시대에 처음 체계화 되었고 중체 초기 서로 다른 지역의 문자 형식이 통일되지 않아 통신이 불편해 카롤루스 대제는 프랑크 왕국에 통일성을 부여하고 행정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카롤링거 소문자를 만들고 보급했습니다.

    본격적으로 가독성 향상을 위해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분해서 쓰는 용례는 영국, 아일랜드에서 처음 등장했는데, 라틴어의 후계 언어들이 아닌 게르만어군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라틴어로 된 글을 읽기 위해 가독성을 어떻게든 높여야 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며 로마자 보다 약간 늦은 시기인 9세기와 10세기에 그리스 문자에서도 오늘날 그리스 소문자의 기원이 되는 필기체가 등장했으며 로마자의 영향을 받아 오늘날처럼 가독성 향상을 위해 구분하여 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