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느긋한돌고래111
느긋한돌고래11124.02.02

북극에 있는 빙하가 다 녹는다면 해수면은 얼마나 상승하게 되는건가요?

만약 북극에 있는 빙하가 전부 다 녹는다면 해수면은 얼마나 상승하게 되는건가요?

대륙의 어느정도가 물에 잠기게 되나요?

빙하가 녹아서 나오는 물의 양이 그렇게나 많은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이론적인 수치는 65m 정도 높아지는 수준입니다. 하지만 이는 단순히 최근 상승되고 있는 해수면의 양과 녹은 빙하의 양을 계산한 것으로 실제로 어떤 변화들이 있을지 모르기 때문이죠.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가 다 녹게되면 해수면의 높이는 어마어마하게 높아진다고 합니다. 다 녹게 되면 침수되는 나라가 많을것으로 하루 빨리 지구온난화를 정상으로 돌려야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에 있는 빙하가 완전히 녹는다면, 해수면은 약 7.5미터 정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에 있는 빙하가 전부 다 녹는다면 해수면은 약 7미터 정도 상승하게 됩니다. 이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빙하가 녹는 속도가 빨라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빙하가 녹아서 나오는 물의 양은 상당히 많습니다. 실제로 빙하가 녹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해수면 상승 속도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대륙의 일부가 물에 잠기게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수치는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이는 지구 온난화의 영향뿐만 아니라 지형과 지질 조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구 온난화를 막는 노력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우리 모두가 노력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와 대륙성 빙덩이가 녹아 해수면이 0.61 ~ 1.10m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는 해안 도시들이 침수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나 일본 열도가 가라앉을 정도로 상승할지는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해수면 상승에 따라 일본의 남쪽 지역에 위치한 도시들이 침수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그로 인한 사회경제적 영향은 크다고 예상됩니다. 해수면이 상승하면 일본 열도 모두가 잠기진 않습니다. 하지만 해안도시 대부분의 지역이 모두 잠길 것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의 모든 빙하가 녹는다면

    해수면은 약 6.5~7.4m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현재 해수면보다 약 2%

    높은 수치입니다.

    해수면 상승은 전 세계적으로

    일정하게 일어나지 않습니다.

    해안 지형 육지의 침하 등 여러 요인에

    따라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해안가의 저지대가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됩니다.

    특히 해발 고도가 낮은 섬나라나

    해안 평야 지역은 물에 잠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네덜란드 덴마크 방글라데시

    태국 등 해안 저지대에 위치한 국가들은

    심각한 위협에 처하게 될 것입니다.

    한국의 경우 서해안과

    남해안의 일부 지역이 물에

    잠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인천 김포 시흥 안면도 부산 진해

    등 해안 도시들이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북극에는 엄청난 양의 얼음이 존재합니다.

    만약 모든 빙하가 녹는다면 그 양은

    약 2850000km³에 달합니다.

    이는 지구 전체 바닷물 양의

    약 1.7%에 해당하는

    엄청난 부피입니다.

    빙하가 녹아서 나오는 물은 담수입니다.

    담수는 바닷물보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같은 양의 물이라도 바닷물보다

    더 많은 부피를 차지하게 됩니다.

    또한 지구 온난화로 인해

    해수 온도가 상승하면서 바닷물 자체도

    부피가 팽창하고 있습니다.

    해수면 상승 속도가 더욱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북극 빙하가 녹는다면

    해수면 상승은 전 세계 해안

    지역에 심각한 위협이 될 것입니다.

    해안 침수 홍수 염수 침투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인간 사회에 큰 피해를

    입힐 것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의 빙하가 완전히 녹는다면, 해수면 상승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영향을 미칩니다. 북극의 빙하는 얼음이므로 이미 해수면에 떠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그러나 북극의 빙하가 녹는 과정에서 얼음이 액체로 변하면서 해수면 상승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얼음이 액체로 변하면 그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액체 상태의 빙하는 원래보다 더 큰 부피를 차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하게 됩니다.

    정확한 상승량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전체 북극 빙하가 녹아 액체로 변한다면, 해수면 상승은 약 20-60cm 정도가 될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이는 예측이고, 실제 상황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정확한 수치를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은 바다에 떠있는 얼음이라 해수면상승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지만 만약 지구의 빙하가 다 녹으면 해수면이 60~90m 정도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인류가 지금까지 겪어보지 못한 대재앙을 맞게되는것이죠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의 얼음이 녹으면 해수면이 상승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흔히 하는 오해이다. 실은 북극의 얼음이 모두 녹아도 해수면이 상승하지는 않는다. 왜 그럴까? 유리잔의 물 위에 뜬 얼음을 상상해 보자. 얼음이 모두 녹아도 수면의 높이는 변하지 않 는다. 북극의 얼음이란 바다에 뜬 얼음이다. 그래서 유리잔의 얼음과 같은 원리에 의해, 녹더라도 해수면 을 상승시키지는 않는다. 반면 남극 얼음은 대륙위에 얼음으로 모두 녹으면 65m의 해수면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출처 : 과학잡지 뉴턴 - 북극의 얼음이 모두 녹으면 해수면은 몇 m 높아질까?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의 빙하량이 공식적인 양으로 보고된것이 없이 대부분 추정이기 때문에 정확한 양은 불가능한 수치이나 개략적으로 5-10미터는 되지않을까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