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23.11.25

금성이 초저녁이나 새벽에만 뜨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금성은 새벽에는 동쪽 하늘에, 초저녁에는 서쪽 하늘에서 빛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금성이 초저녁이나 새벽에만 뜨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금성의 자전 속도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금성의 자전 속도는 지구보다 빠르기 때문에 우리가 보는 시간대에 따라 금성의 위치가 변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성은 내부 행성으로서 지구와 같은 태양계 천체입니다. 초저녁이나 새벽에만 뜨는 이유는 금성의 궤도 위치와 태양과의 상대적인 위치 때문입니다.

    태양계의 행성들은 각자 태양 주위에서 고정된 궤도를 돌면서 공전합니다. 이 궤도의 위치와 태양의 위치에 따라 행성이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시간대가 달라집니다.

    금성은 지구보다 내부 궤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지구 중심으로부터 태양과의 거리에 따라 태양의 빛을 받아 빛나게 됩니다. 초저녁이나 새벽에만 뜨는 이유는 금성이 지구에 가장 가까워지는 시간대가 그 때이기 때문입니다. 태양이 지평선 아래로 내려가거나 올라오는 시간에 금성이 관측 가능한 위치에 오르게 되므로, 이 때에만 빛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성이 새벽이나 초저녁에만 뜨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바로 금성의 자전 속도 때문입니다. 금성은 지구보다 자전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하루에 한 바퀴를 도는 시간이 지구보다 짧습니다. 이로 인해 금성은 우리가 보는 시간대에 따라 다른 위치에 있게 됩니다.

    또 다른 이유는 금성의 궤도 경사각입니다. 금성의 궤도 경사각은 지구의 궤도 경사각보다 더 큽니다. 이로 인해 금성은 지구 주위를 돌 때 우리가 보는 시간대에 따라 다른 위치에 있게 됩니다.

    금성의 대기도 영향을 받는 것도 이유 중 하나입니다. 금성의 대기는 태양과 지구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태양의 빛을 차단하고 지구에서 볼 수 있는 금성의 양을 제한합니다. 따라서 새벽이나 초저녁에만 금성을 볼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금성은 새벽이나 초저녁에만 뜨게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성이 초저녁이나 새벽에만 뜨는 이유는 금성의 공전 궤도가 지구의 공전 궤도보다 지구에 더 가깝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금성은 지구와 태양의 중간에 위치할 때, 지구에서 보았을 때 태양과 가까워서 밝게 보이게 됩니다.

    금성이 태양과 가까워 보이는 시기는 지구의 공전주기와 금성의 공전주기가 서로 다른 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매일 일정한 시간에 금성이 보이지는 않습니다. 금성이 태양과 가까워 보이는 시기는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면서 금성의 공전궤도와 만나는 지점에 도달할 때입니다.

    금성이 태양과 가까워 보이는 시기는 지구의 위치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새벽에 금성이 보이는 경우: 지구가 태양의 반대쪽에 위치할 때, 금성이 태양과 가까워 보입니다. 이 경우, 금성은 새벽에 지평선 근처에서 태양보다 먼저 떠오르게 됩니다.

    초저녁에 금성이 보이는 경우: 지구가 태양의 같은 쪽에 위치할 때, 금성이 태양과 가까워 보입니다. 이 경우, 금성은 초저녁에 지평선 근처에서 태양보다 늦게 지게 됩니다.

    따라서, 금성이 초저녁이나 새벽에만 뜨는 이유는 금성의 공전 궤도가 지구의 공전 궤도보다 지구에 더 가깝기 때문이며, 금성이 태양과 가까워 보이는 시기는 지구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과 행성이 눈으로 보기에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는 각도로 나타 내는데 이를 이각이라고 한다. 위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이각은 태양-금성-지구가 일직선 상에 배열하는 가에서 0°이고, 금성이 시계바늘 반대방향으로 공전함에 따라 점점 커지다가 다에서 최대(470) 가 되고, 다시 작아져서 마에서 다시 0°로 되었다가, 다시 커 져서 사에서 최대(470)로 되었다가 다시 줄어든다. 태양과 금성은 가장 많이 떨어져 있을 때라도 이각은 47 에 불과하기 때문에, 금 성과 태양은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늘 붙어 다닌다는 것을 알수 있다.


    지구에서 태양을 바라보았을 때 왼쪽이 동쪽, 오른쪽이 서쪽이다.

    그래서 왼쪽의 최대이각을 동방최대이각이라 하고 오른쪽의 최대 이각을 서방최대이각이라 한다.

    최대이각이 47 0에 불과하다는 것은 지구가 한시간에 15도씩 자전하니까 금성을 관찰할 수 있는 시간은 길어야 3시간 정도라는 것이다.


    금성보다 더 안쪽에 있는 수성은 최대이각이 때에 따라서 다르지만 18~28 °로 금성보다 더 작다. 즉 수성을 관찰할 수 있는 시간은 길어야 한시간 남짓이다. 따라서 우리는 수성을 잘 볼 수 없다.


    결론적으로, 금성이 새벽이나 초저녁에만 보이는 이유는 최대이각 이 작기 때문이고, 새벽에 보이느냐 초저녁에 보이느냐는 금성이 태양의 오른쪽에 있느냐 왼쪽에 있느냐에 의해 결정된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성은 내행성으로서 태양에 가까워서 태양광에 의해 밝게 빛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금성은 태양이 떠 있는 동안은 너무 밝아서 다른 별들과 비교해 보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금성은 태양이 지는 초저녁 서쪽하늘이나 태양이 떠오르는 새벽에 동쪽하늘에서 주로 관측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