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23.06.19

금성은 왜 초저녁과 새벽에만 보이나요?

샛별이라고도 불리는 금성은 초저녁 서쪽 하늘이나 새벽 동쪽 하늘에서 관측할 수 있는데요, 금성은 왜 이처럼 초저녁과 새벽에만 보이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성은 지구와 가장 가까운 행성 중 하나이며, 햇빛을 많이 받는 행성입니다. 이로 인해 금성은 일반적으로 태양계에서 가장 밝은 행성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금성은 태양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궤도를 돌아가는 특성 때문에 지구와 가까워졌을 때만 보이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실제로, 이러한 현상은 금성이 태양과 지구 사이에서 이동할 때 발생합니다. 태양과 지구 사이에 있는 금성은 태양에서 비춰지는 빛을 받아 반사되어 밝게 빛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일출 전에도 보이는 이유이며, 일출 이후에는 태양이 밝아져서 금성이 가려져서 보이지 않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성이 지구의 공전궤도보다 안쪽에 위치하여 공전하고있기에, 지구입장에서는 금성이 태양을 피해있을 각도 자체가 좁게 설정됩니다.

    즉, 태양이 없는 상태에서만 금성의 빛을 볼 수 있는데, 이 각도가 좁아 초저녁이나 새벽에만 관측이 가능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성이 새벽이나 초저녁에만 보이는 이유는 최대이각이 작기 때문이고, 새벽에 보이느냐 초저녁에 보이느냐는 금성이 태양의 오른쪽에 있느냐 왼쪽에 있느냐에 의해 결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금성이 초저녁과 새벽에만 보이는 이유는 그것이 태양 근처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태양이 떠 있을 때는 태양빛이 너무 밝아서 금성이 가려지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금성을 볼 수 있는 가장 좋은 시간은 해가 뜨기 직전 아침이나 해가 진 직후 저녁인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금성은 내부 행성으로서 태양에 가까워서 태양광에 의해 밝게 빛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금성은 태양이 떠 있는 동안은 너무 밝아서 다른 별들과 비교해 보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금성은 태양이 지는 초저녁이나 태양이 떠오르는 새벽에 주로 관측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금성이 초저녁 서쪽 하늘이나 새벽 동쪽 하늘에서만 관측되는 이유는 지구와 금성이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공전 궤도가 거의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금성은 지구보다 태양에 더 가깝기 때문에 지구보다 빠르게 공전을 합니다. 이로 인해 금성은 지구를 따라잡거나 따라잡히는 형태로 공전을 합니다 그래서 금성이 지구를 따라잡을 때는 초저녁 서쪽 하늘에서 볼 수 있습니다. 금성이 지구를 따라잡히는 때는 새벽 동쪽 하늘에서 볼 수 있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