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현명한북극곰257
현명한북극곰25723.10.21

어린이집에 갈때 우는 아이 어떻게 달래죠?

어린이 집에 간지가 일주일정도 되었어요.

처음에는 너무 좋아하면서 다녔는데 3일째 부터는 떨어지기 싫어하고

어린이집 앞에서 안들어가려고 떼를 씁니다.

19개월 되어서 일찍 보내는 감이 있지만 안간다고 울고불고하니

마음이 너무 아프고 죄책감 마저 드네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0.22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냈는데 아이가 떨어지지 않으려고 하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기관마다 아이가 적응을 하는 프로그램이 있으니 그 일정에 맞춰서 순차적으로 진행하다 보면

    적응해 나갈 것입니다.

    이럴 때는 아이와 천천히 떨어지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잠시 헤어져 있더라도 엄마를 다시 만날 수 있고, 정해진 시간에 엄마가 돌아온다는 믿음을 줘야 합니다. 엄마와의 애착을 잘 형성하고 신뢰가 두터울수록 아이는 엄마와 잘 분리되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한편으로 아이뿐만 아니라 부모도 다른 형태로 아이와의 분리 불안을 느낄 수 있다고 합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돌아오면 어린이집에서 있었던 기분 좋은 일, 재밌었던 일들을 이야기 나눔으로써 어린이집은 좋은 곳이라고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아이를 위해 부모는 '엄마 없이도 잘 지낼 수 있다'라는 믿음을 심어주고 아이를 응원해주면 어린이집의 적응에 성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마음을 잘 공감해주시고 다독여주시면 좋겠습니다

    아이라면 아직 새로운것에 익숙하지 않고 힘들수있기에

    다독이면서 어린이집 잘다녀온것을 지지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이집이 낯설어서 그럴겁니다. 아이가 적응할 수 있도록 조금씩 천천히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직 준비가덜된부분이있다면 아이가적응하는데 더오랜시간이걸릴수있으며

    보편적적응기간은보름정도일수있으며

    그시간이지나도적응을 못하면 조금더신경써주는게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처음엔 많이 울어도 나아지는 아이가 있는가 하면 1년내내 우는 아이도 있다고해요. 3월이 아닌 중간에 입학한 아이들은 더욱 적응하기 힘들어 한다고 합니다. 일단 아이가 제일 좋아하는 인형들을 쭉 나열해놓고 오늘 어린이집에는 어떤 친구를 데리고 갈꺼냐고 물어보시고 챙겨서 보내주세요. 신발이나 옷도 아이에게 선택권을 줘보세요. 손에 무언가를 쥐어주는것도 안정감을 주는데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엄마와의 애착 형성을 위해선, 3돌 정도까지는 엄마와 함께 생화하는 것이 아이들의 정서 발달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아이가 어느 정도 스스로 의사 표현을 하기 시작하고, 배변훈련이 끝났을 때 어린이집에 보내는 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이집에 다닌지 일주일 정도 됐으면 한참 울 때입니다

    집에서만 지내다가 새로운 환경에서 적응해야 한다는 게 쉽지 않는 일이지요.

    하루종일 있게 하기 보다는 하루에 한 시간씩 생활하게 하고, 적응하는 것을 보고 점차 시간을 늘리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에 안가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선생님 또는 친구들과 상호작용이 되지 않아서, 자기 뜻대로 되지 않아서, 편식하는 습관으로 인하여 점심시간에 힘들어서, 가정과 다른 분위기로 인해서 화장실을 잘 못가는 경우와 적응을 잘하지 못해서, 학습에 재미를 느끼지 못해서, 놀이 시 친구들에게 장난감을 뺏겨서, 감기로 인한 질병으로 인해서, 너무 피곤해서 등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우선은 담임 선생님과 상담을 하셔서 아이의 원 적응상태와 학습태도, 교우관계, 식습관 등에 대해 물어보세요. 하지만 원에서 별다른 특이사항이 없다면 원과 가정과 연계하여 어린이집에 재미있고 즐거운 곳이라는 것을 인지시켜 주시면서 아이가 원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에 잘 다녀오자

    그 전날부터 말을 해주시고 잘 다녀오면

    선물을 줄게 이런식으로 해서 선물을 줘보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에 잘 다녀오면 칭찬과 더불어서

    아이가 원하는 것을 하나 들어주시는 등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어린이집에 처음 가는 상황에 대하여 불안감을 느껴

    울음으로 표현하는데 이는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처음

    만나는 낯선 사람과 낯선 환경으로 인해 생기는 현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이가 적응하면서 괜찮아 질 것입니다. 아이들의 성향마다 시기의 차이는 있지만

    금방 해결될 것이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