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리 겐슬러가 암호화폐시장에 대한 시각이 바뀐 이유가 무엇인가요?
개리 겐슬러가 2018년도에 한 강연에서는 암호화폐 시장의 3/4을
비트코인,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비트코인캐시가 차지한다고 했고, 이들은 증권이 아니라고 했습니다.
따라서 이 시장의 3/4가 증권이 아니라고 했는데 최근 개리 겐슬러가 암호화폐시장은 대부분 증권이라고 공격했습니다.
무슨 이유 때문에 2018년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겐슬러는 MIT 교수로 재직하던 2018년 가을학기 강의(Primary Markets, ICOs & Venture Capital, Part 2)에서 알트코인 대표 이더리움이 증권이라고 밝힌 적이 있다. 차례 공개적으로 “비트코인은 (증권이 아니라 금과 같은) 상품”이라고 말했다. 나머지 토큰(알트코인)에 대해서는 거의 다 증권에 해당한다고 밝혀왔다. 그는 많은 암호화폐가 증권에 해당하기 때문에 증권과 동일한 규제를 받아야 한다면서 크립토 산업 규제 강화를 강력하게 옹호해 왔다. 거래소를 비롯한 크립토 업체들은 미등록 증권에 해당하는 코인들을 거래하는 ‘카지노’에 비유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현재 가상화폐의 시장이 급속하게 커짐에 따라서
달러의 패권이 위협되며 주식 등에서도 투자금이 빠져나갈 수 있는 등
이에 따라서 생각이 바뀌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개리 갠슬러가 지적한 암호화폐의 증권성은 앞서 말씀드린 이더리움이나 비트코인에 대한 지적이 아니라 새롭게 발행되어진 샌드박스, 폴리곤, 솔라나와 같은 코인들에 대해서 지적을 한 것이다 보니 입장에 대한 차이라기 보다는 코인에 대한 차이로 인해서 발생한 결과물이라고 보시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18년과 5년 이상 지난 현재의 가상화폐 시장은 완전히 다른 모습니다. 일단 비트코인은 훌륭한 가치 저장 수단으로 인정 받아 여러 파생상품이 제도권으로 편입 되었고 리플과 SEC 간의 긴 소송 전이 벌어지고 있는데 SEC의 승리를 점치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익히 아시는 바대로 블록체인은 디파이 기반입니다. 그러나 근래 들어 루나 사태 등 디파이 기반이 언제들지 발행 주체에 의해 와해 되고 먹튀 수준이 될 수 있는지 극명한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투자자 보호 측면에서도 코인을 증권으로 취급하여 발행부터 유통 및 유지 관리까지 모니터링할 필요성이 생겼습니다.
혁신성에 저해가 되겠으나 오남용으로 인한 폐해가 더 크기 때문에 규제 실익이 중장기적으로 더 크다고 판단한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