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느리지만 행복하고 싶은 달팽이
느리지만 행복하고 싶은 달팽이

남자 6세 아이 정도면 글을 읽고 쓰는 정도는 하나요?

아이가 유치원에 다니는데 6세반에 아이들이 글을 읽고 쓰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보통 6세 남자 아이면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게 정상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한글을 습득하는 것은 한글 학습에 대한 시작 시기에 따라서 다르겠습니다.

    5세가 되면 자기 이름을 쓸 수 있고

    6세에 읽기가 가능하며, 7세에는 읽고 쓰는 것이 가능합니다.

    한글 공부는 아이가 관심을 가질 때 시작하는게 가장 효과적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학습지와 같은 평면 자료를 이용해서 학습하면 아이가 싫증을 낼 수도 있으니 놀이 식으로 접근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번거롭겠지만 우선 집에 있는 사물 밑에 이름카드를 붙여줍니다.

    그림과 글자가 함께 있는 카드로 놀이를 하고 그림-글자를 분리해서 찾기 놀이를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꾸준하게 책읽기를 하는 것은 아이의 정서, 언어발달에 효과적입니다.

  • 보통 아이에게 한글을 일찍 시키는 부모들은 5세에도 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6세가 되면 어느정도 한글을 읽고 쓰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6세에 한글을 읽고 쓴다고 해서 정상범위라는 기준은 없습니다. 아이들마다 한글에 대한 흥미나 관심도가 다르기 때문에 당연히 한글을 접하는 시기가 다르며 읽고 쓰는 시기또한 다를수밖에 없습니다. 한글을 먼저 시작하면 다른아이보다 먼저 한글을 읽고 쓸뿐이지 결국 시간이 지나 시키더라도 똑같아 집니다. 다른아이와 비교할 필요없이 지금부터라도 해도 늦지 않으니 아이와 즐거운 방법으로 한글을 접해주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6세 정도가 되어도 읽고 쓰고를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보통은 7~8세 정도가 되어야 됩니다. 초등학생이라도 한글을 모르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따라서 너무 걱정하지 않으시고 조금씩 천천히 해주세요

  • 6세정도가 되면 쉬운 한글정도는 알수도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으며

    이는 교육을 얼만큼 하는지에 따라서차이는 있을수있겠습니다.

  • 6살 정도면 이제 시작할 나이입니다.

    맞춤법은 많이 틀리지만 쓰려고 노력할 나이구요

    속도가 빠른 아이들은 꽤 잘읽고 잘쓸 정도 됩니다.

    정상 비정상이라고 말씀드리기 보다는

    요즘 평균적으로 6살 부터 한글 공부를 많이 시작한다고 말씀드릴수 있겠네요.ㅎ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각각 아이들의 발달 상태와 언어 습득 속도에 따라서 모든 판단 기준이 달라질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의 아이들의 경우에는 다섯 살에서 여섯 살 무렵엔 한글을 읽기 시작합니다. 물론 더 늦게 한글을 이해하기 시작하는 아이들도 생기지만 요즘에 보면 보통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는 다섯 살~ 여섯 살 무렵부터 한글 자음과 모음 학습을 시작하는 빈도가 높습니다. 때문에 여섯살에 읽고 쓰기까지된다면 빠른 언어습득 속도를 보여주는것입니다.

  • 읽는건 빠른아이들은 본격적으로 읽을 줄아는 시기인것 같습니다. 쓰는것은 소근육의 발달이 더 필요해 6세에 쓰는것을 잘하는아이들은 정말 빠른편인것 같습니다. 7세가되면 쓰는것도 많은 아이들이 할 줄알게 됩니다.

  • 6세 남아의 글쓰기 능력은 다양하게 발달 할수 있어요 아이의 성격. 관심사,배경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6세 남아는 한글을 읽고 쓸수 있습니다 아이가 글쓰기에 흥미를 갖도록 관심을 끌어 주세요 그동안 충분히 읽을수 있도록 도와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꾸짖지 않고 기다려야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지켜보며 응원해 주셔서 파이팅입니다

  • 6세정도면 글을 읽고 쓸 줄 압니다. 정상입니다. 하지만 잘 쓰진 않고 맞춤법은 많이 틀리고 소리나는 대로 쓰게 됩니다. 예를 들어 '하늘이' '하느리'라고 씁니다. 하지만 이건 자연스러운 성장 과정이고 잘 하고 있습니다. 읽는 부분도 조금씩 더듬더듬 읽으며 어려운 단어는 잘 읽지 못합니다. 간혹 책을 많이 읽은 친구들은 글도 잘쓰고 잘 읽는 친구들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