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고귀한기러기255
고귀한기러기25522.02.24

신생아(생후 4주) 마스크 관련 문의

생후 4주 신생아 예방 접종을 위하여 병원 방문을 해야하는데

요즘 신생아들도 코로나 감염으로 뉴스보도가 되고 있는 상황으로 많은 걱정이 됩니다.

신생아의 경우 마스크는 위험하여 착용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인터넷 검색결과 마스크 대용품으로 아기띠 방역커버를 사용하던데 마스크 수준으로 예방이 되는건가요?

또한 이외 마스크 대신 감염을 예방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문의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기사에 의하면 24개월 미만 영유아의 경우 호흡기가 제대로 발달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호흡 곤란시 스스로 마스크를 벗지 못할 위험이 있어 마스크 의무착용 대상이 아닙니다 감염 예방을 위해 영.유아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동안에는 엄마 아빠의 주의 깊은 관찰을 필요합니다

    요즈음 들어 확진자 수가 계속 느는 경우엔 병원 외에는 아이와 최대한 외출을 자제하는 수 밖에는 없을 것 같아요

    그리고 외출 후 손 씻기는 항상 하셔야 하구요~

    방역커버가 없는 것 보다는 있는 게 그래도 감염의 위험이 덜 하지 않을까요?

    아기띠 방역커버에도 비말 커버 모자처럼 비닐로 된게 있고 모기장 같은 촘촘하게 생긴 천으로 된 것도 있으니 잘 살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신생아의 경우 최대한 외출을 자제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호흡이 불안정하디때문에 마스크를 씌운다면 안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굽니다


  • 안녕하세요. 김연량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2세 미만은 마스크 쓰면 안돼"...질식·뇌손상 가능성

    정부는 현재 2세 미만 유아의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지 않고 있다. 질식의 위험이 있다는 이유에서다. 실제로 그럴까. 전문가의 답변은 "그렇다"이다.

    안종균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소아감염면역과 교수는 7일 "24개월 미만은 질식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와 미국 CDC(질병통제예방센터) 등에서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 교수는 "(마스크가) 완전히 덮으면 호흡하는 힘이 약해 질식의 위험이 있다"며 "물리적으로 숨을 막아버리는 원리가 될 수 있어 위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혜진 서울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역시 "2세 미만의 영유아는 질식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천 마스크를 쓰는 것도 권유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출처: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703_0001083419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연일 확진자 수가 급증하고 있어서 개인간 위생을 철저히 해야겠습니다.

    감염 예방은 손 씻기가 필수인것 같습니다.

    신생아니깐, 부모님께서 수시로 아가의 손을 씻겨 줘야 할 것 같아요.

    밖에서도 병원에 들어가서도 의자에 앉을 때 소독해주고 또 문을 열고 들어갈 때 문도 소독 해주는 등 철저하게 개인위생을 챙겨야 할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진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에게 어른처럼 부직포 마스크를 씌우기 곤란하니 염려가 크시지요

    어린 아기들은 호흡에 어려움이 생길 것을 우려하여

    섣불리 무엇인가를 덮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알고 있어요

    사용하시더라도 지퍼도 완전히 잠그지 말고 약간의 공기는 통하게 하셔야 하고요

    어떻게 보호하는 것이 그래도 효과적일지 소아과 진료 받으실 때 문의해보심도 싶어요

    그리고 기본수칙으로 사람많은 곳 데려가지 마시고

    아기들은 수시로 물건을 입어 넣기를 원하니 손도 자주 닦아 주시고

    깨끗하지 않은 물건은 미리 치워두시기를 권장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실 신생아의 경우 마스크 안의 이산화탄소로 인해 폐암 걸릴 위험이 있어 아기띠 방역커버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비말차단으로 일정부분 마스크와 같은 효과를 가지고 있겠지만 식약처 인증 등이 없기에 마스크와 같은 효과가 있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신생아의 감염예방에 있어서 아기띠 방역커버만한 제품은 또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