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종 이방원때 선물받은 코끼리가 사람을 죽였다고 하던데 그 다음 어떻게 되었나요?
태종 이방원때 일본으로부터 코끼리를 선물받았다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이코끼리가 사람을 죽이게 되는데 이후 이 코끼리는 어떠한 처분을 받게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태종 13년(1413년) 공조전서 이우가 코끼리에 밟혀 죽는 사건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코끼리가 전라도의 외딴 섬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습니다. 이후 코끼리는 먹을 게 물과 풀 밖에 없는 그곳 생활이 너무 힘들어 날로 야위어갔고 사람만 보면 눈물을 뚝뚝 흘렸다고 전해집니다. 결국 태종은 코끼리를 육지로 보내 기르도록 명하였고, 전라도 관찰사는 네 고을의 수령에게 돌아가며 코끼리를 기르도록 했습니다. 그러나 6년 동안 그 일을 하다 보니 백성들이 여간 고생스럽지 않았고, 세종 2년(1420년) 전라도 관찰사가 코끼리를 충청도로 이송하여 기르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이 선물한 코끼리인데요, 사람을 밟아 죽였다고 합니다.
그래서, 전라도 해도로 귀양을 보냈습니다. 그러나 코끼리의 먹이가 너무 많이 들어 다시 육지로 나왔다가
그 식성을 감당하기 힘들어 충청도, 경상도로 번갈아 가며 코끼리를 돌봤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 왕에게 받았던 선물인 코끼리가 실수로 사람을 죽이자 코끼리는 귀향을 가는데 결국 전라, 충청, 경상 3도가 코끼리를 돌아가면서 사육하는 ‘순번 사육’을 하게 되고 . 3도를 떠돌던 코끼리. 1421년(세종 3년) 또 사고를 치고 맙니다. 충남 공주에서 사육사가 코끼리 발에 치여 사망하는 사건이 벌어진 것인데 이에 충청도 관찰사는 다시 코끼리를 섬으로 유배 보내자는 상소를 올려 보내고 상소를 들은 세종은 “물과 풀이 좋은 곳으로 코끼리를 두라”고 명한 뒤 당부했습니다. “제발 병들어 죽지 말게 하라.”해서 다시 섬으로 귀양을 가게 된 이후의 코끼리와 관련된 기록은 남아있지 않은데 아마도 섬으로 가서 죽었을 것으로 추정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우가 코끼리에게 밟혀 죽으나 크게 문제 삼지 않았는데 그 후 관리하는 사람을 한명 또 죽이게 됩니다.
이때 코끼리를 유배보내자는 상소가 올라왔고, 결국 코끼리는 전남 순천 앞바다 장도 라는 섬으로 유배가게 됩니다.
유배 후 코끼리가 밥도 먹지 않고 울기만 한다는 소식을 들은 태종은 뭍으로 나오게 해서 전라도 관찰사에게 관리를 맡기나 너무 많이 먹기 때문에 감당하기 힘들자 전라도 관찰사는 이 해결방안으로 삼도순번사육(충청, 전라, 경상도)을 청하게 됩니다.
충남 공주에서 돌보던 하인이 코끼리 발에 치여 죽게되자 코끼리는 또 섬으로 유배, 그 뒤의 기록이 없는 것으로 보아 섬으로 유배가면서 그 곳에서 생을 마무리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411년 일본에서 당시 조선의 왕인 태종 이방원에게 코끼리 한 마리를 선물합니다. 일본이 조선에 코끼리를 바쳤다는 기록은 조선왕조실록 중 태종실록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일본 국왕 원의지가 사자를 보내어 코끼리를 바쳤으니 코끼리는 일찍이 없던 동물로 사복시에서 기르게 하니 날마다 콩 4-5두씩 소비하였다고 전해집니다. 그런데 1년 뒤 전 공조전서 이우가 코끼리에 밟혀 죽었습니다. 신기한 동물이라 그 추함을 보고 비웃고 침뱉다가 참변을 당한 것입니다. 이에 조정에서 병조판서 류정현의 건의로 전라도 해도에 두도록 명하였습니다. 해도에서 기르던 중 종이 죽는 불상사가 생기자 전라도 육지로 보내졌고 삼남지방을 전전하다가 이후에 전해내려오는 이야기는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