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색다른콜리160
색다른콜리16023.05.13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은 언어를 어떻게 배우고 있을까요?

요즘은 정말 다문화 가정이 눈에 띌 정도로 많아졌는데요.

기본적으로는 한쪽이 한국인이고 배우자가 외국인인 상태에서 한국에 정착하는 경우가 많고,

완전히 서로 다른 나라에서 와서 한국에 정착하는 경우도 간간히 있던데요.

일단 부모의 언어를 다들 구현을 하는 것 같던데

언어 교육을 어떻게 해서 두개 국어가 유창하게 가능할 수 있었을까요?

하나만 익히게 하기도 쉽지 않았을 거 같은데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다문화 가정이 급속도로 늘어 나고 있습니다.

    다문화 영유아의 이중언어 벌달을 위해서 아이와 부모가

    모두 참여하는 가족놀이, 전통놀이 모국어 책읽기

    등이 있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 하나의 언어를 중점으로 집에서 사용해주는것이 좋습니다

    교육을 할때도 가능하면 하나의 언어만사용해서 언어의 혼돈을 막아주면서 교육을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3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수시로 동화책을 읽어주고 간단한 대화 나누기 등의 방법을 통해서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언어를 배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다문화 아이들은 어떻게 보면 더 효과적으로 언어를 배울 수 있을 것 같아요.

    엄마 아빠가 쓰는 언어를 두 가지를 동시에 배울 수 있기 때문이지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다문화 가족지원센터가 있습니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우리 모국어 한국어 학습을 하기 때문에 한글을 쉽게 익힐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다문화 어머니들의 한글학교도 있기 때문에 이주여성 즉 다문화 엄마들이 한글공부를 잘하시는 분들은 아이들 한글 공부에 많이 신경쓰시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수경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은 부모중에 주 양육자의 언어를 잘 습득하게 됩니다.

    주 양육자가 외국인인 경우 아이들은 막힘없이 엄마와 외국어로 대화가 가능합니다.

    한국에 살고 있다면 어린이 집부터 티비등 모든 환경속에 자연스럽게 한국어가 들리니 한국어 또한 자연스레 습득이 됩니다. 따라서 개인차는 있겠지만 엄마는 외국인이지마 한국에서 자라 한국 기관에 다니는 아이는 이중언어가 유창하게 되는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다문화 가정의 부모님들은 오히려 한국 가정보다 더 많이 언어 교육에 힘을 쓰는 경우가 많답니다

    더 많이 아이와 놀아주고, 센터에 도움을 받고, 여러 가지고 언어 교육에 관심을 갖고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