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차분한돌고래237
차분한돌고래237

뇌 백질 변성 으로 인한 추가 검사 이후 문의

성별
여성
나이대
30대
복용중인 약
뉴론틴,아스피린

안녕하세요

만39세 여자 이고 혈압 당뇨 비만 고지혈증 다 해당 사항 없는 상태에서 디스크로 인한 어지러움과 저림 증상으로 보고 살다가 우연히 찍은 건강 검진 뇌 mri 에서 백질에 고강도 신호 소견이 나왔습니다.

3개월 뒤에 대학병원에 다녀왔고

비교적 젊은 나이라서 다발성 경화증등 다양한 가능성을 염두하고 검사를 진행하자 했습니다.

우선 다시 찍은 mri에선 전과 동일했고

Mra에서는 깨끗했습니다.

다만 피검사에서 한 가지 항목에서 양성이 나와서 몇 달 뒤 재검 예정입니다.

아스피린 처방해주셨고 1월에 피검사 예정인데 동네 류마티스 내과에서 좀 당겨서 검사를 해볼까요?

기록지 사본 첨부 합니다.

  • 1번 째 사진
  • 2번 째 사진
  • 3번 째 사진
  • 4번 째 사진
  • 5번 째 사진
  • 6번 째 사진
  • 7번 째 사진
  • 8번 째 사진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뇌 백질 변성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30대 여성분에게 나타난 고강도 신호 소견에 대해 다발성 경화증 등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추가 검사를 진행하는 것은 적절한 조치입니다. 현재 대학병원에서 피검사 결과에 따라 재검을 계획하고 아스피린을 처방받으신 상태이므로, 우선은 담당 의료진의 지침을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만, 불안감이 크시다면 동네 류마티스 내과에서 검사를 당겨보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류마티스 질환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추가적인 검사나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주치의와 충분히 상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으며, 현재 복용 중인 약물과 검사 결과를 공유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

    MR T2 image에서 hyperintensity 고신호병변 양상 나타난다는 것은 뇌의 허혈성 질환 등을 고려해보아야 합니다.

    Anti-cardiolipin Ab 에서 양성이 나왔는데, 이는 항인지질 증후군 가능성 있어 보입니다.

    관련 아스피린 약제 유지 시작하셨따고 하니, 우선 기존 병원 다니셔도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답변 도움되었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