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새참의 어원이나 유래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새참이란 말이 긴 시간을 의미하는 단어인 한참과 연관되어있다고 하는데
그 연관성에 대해서 궁금해지네요
새참이란 것의 유래나 어원에 대해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새참은 ‘일을 하다가 잠시 쉬는 동안에 먹는 음식’을 말하고 밤참은 ‘밤에 간식으로 먹는 음식’을 말합니다. 이 말의 어원의 뿌리는 몽골 문화에서 찾을 수 있으며 참은 원래 몽골어 '잠(jam)'에서 유래한 말로서 우리말로는 '길(道)'이라는 뜻이라고합니다. 원나라에서는 이것을 한문으로 참(站/우두커니 서다, 역마을, 서다)이라고 표기했으며 지금도 중국에서 기차역을 참(站)이라 쓰고 있다고합니다. 역참과 역참 사이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그 사이를 오가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뜻으로 쓰던 말로 역참에서는 지친 말도 쉬고, 사람도 음식을 먹으며 휴식을 취하였는데 여기에서 유래하여 참이라는 것이 음식을 뜻하는 말이 되었고 새참은 모두 이 참에서 유래한 말이 되었다고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새참이란 일을 하다가 잠시 쉬는 동안에 먹는 음식. 사이가 " 새" 로 변했고 점심, 저녁 할 떄 한끼 식사를 참이라 하니 " 사이 중간에 먹는 식사 간식" 정도가 됩니다. 육체노동이 심한 노동자나 농번기의 농부들은 하루 2끼의 식사 외 한두 번의 식사를 더하게 되는데 이것을 새참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