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푸른앵무새292
푸른앵무새292
24.03.01

호흡을 깊게 하는것이 건강에 좋나요?

나이
27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흔히들 얕게 호흡을 하면 안좋고, 깊게 호흡을 하라고 하는데 이게 정말 근거가 있는건가요? 일부러 얕게 호흡을 지속해보고, 반대로 깊게 호흡을 지속해봐도 딱히 집중력이나 활력 등에 영향이 있다는 느낌은 안드는데요

정말로 깊고 천천히 호흡을 하는게 전바적으로 건강에 좋나요? 스스로 생각하기에는 천천히 깊게 호흡을 하면 심리적으로 덜 흥분되고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되고, 심박수가 조금은 낮아져서 그게 도움이 된다는건가 생각은 들지만 정말로 그러한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만약 깊게 호흡하는 것이 좋다면, 의식적으로 무조건 깊게 호흡하고,복식호흡만 하는게 더 좋은건가요?

예외적으로 운동할때만 흉식호흡을 하면 되는건지, 아니면 상황마다 다르니 무조건 복식호흡이 좋다, 흉식호흡이 나쁘다라고 말할 순 없는건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민혁 의사blue-check
    유민혁 의사
    차움건진센터
    24.03.02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깊은 호흡과 복식호흡은 실제로 건강에 여러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깊게 호흡할 때, 우리 몸은 더 많은 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스트레스 감소, 심리적 안정감 증가, 심박수 및 혈압 조절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깊은 호흡은 부교감 신경계를 활성화시켜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고, 불안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상황에서 복식호흡만이 유일한 해답은 아니며, 운동 중에는 흉식호흡이나 복합 호흡 방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몸과 상황에 맞는 호흡 방식을 찾는 것이며, 일상 생활에서 스트레스 관리와 건강 증진을 위해 복식호흡을 의식적으로 연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DBE deep breathing exercise의 경우 말씀하신대로 부교감 신경을 활성화시키고

    스트레스지수를 낮추어 혈압을 낮추어 대표적으로는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감소킵니다.

    따라서 틈날 때 잠깐잠깐씩 하시는 것은 바람직합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깊고 천천히 호흡을 함으로써 실제로 부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어 스트레스 반응을 줄이고 심박수를 낮추며, 이는 심리적 안정감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이러한 깊은 호흡은 또한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더 많은 산소를 세포에 전달하여 전반적인 에너지 수준과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복식호흡은 효과적인 깊은 호흡 방법 중 하나로, 복부를 사용하여 폐의 하부까지 공기를 채워 더 많은 산소를 섭취할 수 있게 하며, 이는 신체의 산소 이용률을 최적화하고 이산화탄소 배출을 증진시킵니다.

    그러나 모든 상황에서 복식호흡이 유일한 선택이어야 한다고 단언하기는 어렵습니다. 운동 시나 특정 활동 중에는 흉식호흡이나 혼합 호흡 방식이 더 적합할 수 있으며, 이는 활동의 강도나 개인의 신체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강도 운동 중에는 흉식호흡이 더 많은 공기를 빠르게 섭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개인의 필요와 상황에 맞추어 호흡 방식을 조절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