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를 활용한 원산지증명서 작성 시 주의사항은 무엇인가요?
FTA 혜택을 받기 위해 원산지증명서를 작성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작성 중 오류가 발생하면 혜택을 받지 못할까봐 걱정입니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원산지증명서를 작성하려면 어떤 사항에 유의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원산지증명서를 정확히 작성하려면 우선 fta 협정에서 요구하는 원산지 기준을 명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제품의 원산지 기준에 부합하는지 확인하고, 이를 입증할 수 있는 생산 과정과 재료의 세부 내역을 꼼꼼히 정리해야 합니다. 특히 hs 코드와 관련 규정을 정확히 적용하고, 필수 항목을 빠뜨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작성 과정에서는 관련 서류를 철저히 준비하고, 원산지 기준에 맞는 서류를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내에서 담당 부서를 지정하거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제출 후에도 인증기관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모든 기록을 체계적으로 보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원산지증명서는 특혜원산지증명서가 발급되어야 협정 체결국에서 수입시 협정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원산지증명서는 기관발급과 자율발급으로 구분되며, 협정에 따라 발급 방법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원산지증명서 발급 전에 발급방법을 우선 확인하여야 합니다.
원산지증명서 발급 시 우선 수출물품의 hs code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hs code는 관세사나 관세청 관세평가분류원의 품목분류사전심사 등을 활용하여 적절한 hs code를 분류하여야 합니다.
수입국 hs code 일치여부 확인하여야 합니다. 수출국과 수입국의 hs code가 다를 수 있으므로 사전에 확인하여 원산지증명서를 발급하여야 합니다.
협정별 원산지증명서 발급이나 작성 시 작성요령 등이 있으므로 사전에 확인하여 권고방법대로 작성하여야 합니다.
정해진 양식이나 발급 방법으로 원산지증명서가 발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원산지 검증을 받을 수 있으므로 협정에 따른 원산지증명서 발급 방법을 사전 검토 및 진행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FTA 원산지증명서의 경우에는 발급 시 기관발급, 자율발급이 있습니다. 먼저, APTA 협정의 경우에는 선적일 포함 3일이내 발급이라는 점 유의부탁드리며, 나머지는 기관발급의 양식에 따라 신청하시거나 자율발급양식대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이에 대하여 우려가 있으시다면 미리 빠르게 C/O를 발급하시어 바이어에게 실제 통관용으로 사용이 가능한지 물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원산지증명서의 작성방법은 대동소이하지만 세부적으로 보면 각 협정별로 다르며 각 작성방법에 따라 잘 이루어져야 합니다.
특히 세관이나 상공회의소에서 원산지증명서를 발급받는 기관발급 협정(한-아세안, 한-중 FTA 등)의 경우 형식적인 하자로 인한 세관의 보완사항이 나오게 되면 이를 바로 대처하기가 힘든 경우가 많아 특히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정 원산지증명서의 작성방법 등에 관하여는 관세사 등 전문가의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