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사일러스
사일러스24.01.13

전기 장치의 차단기가 내려가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며칠 전부터, 직장의 어느 기계장치가 작동 중에 차단기가 내려가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는데,

물론 차단기를 다시 올리면 된다지만,

매일마다 해야 하니까 귀찬기도 해서, 원인을 찾아보려고 하는데,

우선 합선은 아닙니다.

다른 이유가 있을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기계가 갖는 최대 부하가 있습니다.

    가령 초기 돌아갈때나 가동시 온도 증, 감을 위해 콤퓨레사나 다른 모터가 돌아갈때 최대 부하가 생기는데요.

    동작중에 내려갔다고 하면 내부 콤푸레샤나 그런것이 재가동하면서 부화가 걸리며 차단기가 내려갈 수 있습니다.

    합선은 아니고 기계와 차단기 용량이 맞지 않으니 차단기 용량을 키워 보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과부하: 전기 장치에 흐르는 전류가 설계된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차단기가 작동하여 전류를 차단합니다. 이는 전기 장치와 회로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2. 단락: 전기 회로에서 단락이 발생하면 차단기가 작동하여 전류를 차단합니다. 단락은 전선 간의 접촉이나 절연체 파손 등으로 인해 전기가 비정상적으로 흐르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3. 지락: 전기 회로에서 접지된 부분과 전선이 접촉하거나 전선이 접지된 부분에 닿는 경우 차단기가 작동하여 전류를 차단합니다. 이는 전기 충격을 방지하고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작동 메커니즘입니다.

    4. 과전압: 전기 회로에 과전압이 발생하면 차단기가 작동하여 전류를 차단합니다. 과전압은 전원 공급이나 회로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직장에서 차단기가 내려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시다니 귀찮으시겠네요.

    일반적으로 전기 장치의 차단기가 내려가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과부하 혹은 과전류입니다. 전기 장치가 너무 많은 전력을 사용하거나 갑작스럽게 전력이 증가할 경우 차단기가 내려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전기 장치의 오작동이나 고장으로 인해 차단기가 내려갈 수도 있습니다.

    또 다른 가능성은 전기 장치의 노후로 인한 고장일 수 있습니다.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하다 보면 전기 장치의 부품이 마모되거나 손상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차단기가 내려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기 장치의 설치나 배선이 잘못되었을 경우에도 차단기가 내려갈 수 있습니다. 잘못된 설치나 배선으로 인해 차단기가 내려가는 경우가 있으니 이 점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부하 용량이 많아서 그럴경우가 많습니다. 차단기 용량보다 큰 과전류가 흘렀을 경우에 차단기가 내려갑니다. 기계가 작동할 경우 처음에는 큰 부하가 걸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 장치에 과다한 전력이 흐를 경우 차단기가 내려갈 수 있습니다. 이는 회로에 과부하가 걸려 전기 안전을 위해 차단기가 작동하는 것입니다.

    또는 ELB의 고장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기계장치가 소비하는 전류가 차단기의 허용 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차단기가 내려갈 수 있습니다.

    기계장치의 부품이 고장나서 전류가 정상보다 많이 소모되는 경우와 기계장치의 용량을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및 전선의 절연이 손상되어 전류가 새어 나가는 경우에 차단기가 내려갈 수 있습니다.

    기계장치의 전선이나 부품에 손상이 생겨 전류가 새어 나가는 경우 차단기가 내려갈 수 있습니다.

    기계장치의 부품이 고장나서 전류가 새어 나가는 경우에는 누전이 발생하기 쉬우며

    전선의 절연이 손상되어 전류가 새어 나가는 경우 및 습기가 차서

    전기가 새어 나가는 경우에 누전이 일어나기 쉽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선의 피복이 까져서 누설전류가 발생하거나

    과전류사용으로 인한 트립현상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