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대견한아비205
대견한아비20523.03.06

물가를 잡기 위해서는 어떤 정책이 필요한가요?

마트에 장을 보러가면 너무 물가가 비싸서 조금만 담아도 10만원입니다.

이런 고물가를 잡기 위해서는 정부에서는 어떠한 정책이 필요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코로나시국에 전세계가 물가가 폭등했습니다 이 원인으로 정부의 지원을 꼽는데요

    국민들에게 많은 돈을 주었다고 물가가 오르는 것은 교과서내용입니다

    역대로 국민에게 정부가 대규모로 돈을 준적이 있나요?

    물가는 계속해서 올라왔습니다

    멈춰있던건 임금입니다

    장보러 가면 뭐가 비싼지 잘아실겁니다

    저도 장사를 해봤지만 판매가 되지않으면 가격을 할인하거나 거의 원가에라도

    내다 팝니다

    그런데 경제침체다 뭐다 하면서 장사하는 사람들은 가격을 올렸고요

    그게 판매가 되었습니다

    계란 한판이 3천원이었는데 1만원전후로 올라왔죠?

    임금 노동자들은 계란사기힘듭니다만 계란을 만원에 팔아도 살사람이 많습니다

    나라에 부자들 중산층들이 많기 때문이죠

    팔리니까 담합을 한다고도 생각이 됩니다

    왜 추석 설날때만 되면 야채 과일값이 오를까요? 제가 볼땐 담합입니다

    결국 물가는 계속 오르고요 최저시급을 올라도 임금동결되는 곳 많습니다

    원자재값이 올라서 소주원가가 올라서 소주값을 5천원에 팝니다

    어제도 가게에 가보니 소주 5천원에 팔더군요

    본인들 호주머니에 더 들어갑니다

    본인들 사업자들이 충당해야하는 임대료나 유통비 배달비를 모두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겁니다

    담합은 잡지도 못합니다

    차라리 노동자들의 임금이 더 올라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어느정도까지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높은 물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시행할 수 있는 몇 가지 정책이 있습니다.

    1. 공급 증가: 정부는 수요를 충족하고 가격을 낮추기 위해 상품의 생산과 공급을 늘릴 수 있습니다.

    2. 가격 통제: 정부는 특정 상품에 대한 가격 통제를 시행하여 가격이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3. 수입 정책: 정부는 수입 관세를 인하하여 수입을 장려하고 경쟁을 강화하여 가격을 낮출 수 있습니다.

    4. 통화 정책: 정부는 인플레이션과 물가 수준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금리나 통화 공급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5. 재정 정책: 정부는 세금 및 지출 정책을 사용하여 수요를 촉진하거나 물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긴축재정정책과 통화긴축정책 즉, 정부지출을 줄이고, 세율을 어느정도 올리며, 기준 금리 & 지급준비율, 재할인율을 올려 시중 통화량을 줄임으로써, 상대적으로 돈의 가치를 높여 물가를 잡는 정책이 유효하다 볼 수 있습니다.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상승한다는 것은 인플레이션이 상승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인플레이션의 상승은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 증가하여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는 것을 의미하기에 이 물가를 잡는다는 것은 곧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을 감소시키는 정책을 펼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정부는 이 물가를 잡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정책들을 펼칠수가 있습니다. 대량의 국채발행을 통해서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 유동성을 흡수하는 방법, 지급준비율을 올려 시중은행의 자금을 중앙은행으로 흡수하여 유동성을 감소시키는 것, 기준금리 인상을 통해서 은행으로 유입되는 자금을 높이고 시중에 풀리는 자금을 줄이는 것이 있습니다. 다만 현재 우리나라 정부의 부채 수준이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보니 국채 발행을 통한 시중유동성 흡수는 힘들기 때문에 현재 가능한 제도는 '지급준비율'과 '기준금리인상'을 통해서 정부는 물가를 잡을 수가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