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자동차새로바꾸기
자동차새로바꾸기

고려시대 시가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고려시대에도 고전시가가 유행했다고 알고 있는데요. 그 당시에 쓰인 시들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었고 누가 주로 창작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 시가는 향가, 경기체가, 속요(고려가요)로 나뉩니다. 향가는 신라에서 고려초까지 이어진 시가 형식으로 주로 불교적 내용을 담고 있으며 4구체, 8구체, 10구체 등의 형식을 가졌습니다. 그러나 고려 중기에 접어들면서 점차 소멸했습니다. 경기체가는 고려 중기 이후 등장한 귀족문학으로 형식이 일정하며 화려한 미사려구가 특징입니다. '경긔 엇더하니잇고'라는 후렴구를 주로 사용하며 대표적인 작품으로 한림별곡(한림제유), 관동별곡(안축), 상대별곡(권근) 등이 있습니다. 속요(고려가요)는 민중 사이에서 구전된 노래로 서정성이 강하고 자연스러운 감정표현이 특징입니다. 형식적으로는 후렴구가 뚜렷한 분절형과 서사성이 강한 연속형으로 나뉘며 대표적인 작품으로 청산별곡, 가시리, 쌍화점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