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 회전율은 종목기준인가요? 금액기준인가요?
예를 들어 10개의 종목 중 5개를 팔고 다른걸 사면 50%인가요?
아니면 총 10개 종목을 10주씩 들고 있고 이게 100억이라 하면 5주씩 50억어치를 팔고 다른 종목을 사거나 같은 종목을 다시 50억사면 이게 50%인가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펀드회전율이라는 것은 해당 펀드운용사가 1년을 기준으로 얼마나 펀드 내 자산의 비중을 교체했는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펀드회전율을 구하는 공식은 [운용기간 중 매도 자산가액 총액 / 보유자산의 평균가액]으로서 즉 금액을 기준으로 하게 됩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펀드 운용기간 중에 매도자산의 총액이 50억이며, 보유자산의 평균가액이 100억원이었다면 해당 펀드의 회전율은 50%가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펀드마다 해당 펀드에 투자된 종목의 비율은
모두 다르기에 이에 따라서 금액으로 산정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펀드의 회전율은 '총 펀드 자산' 즉, 금액 기준이며, 100억 원인데 총 50억 원을 사고 팔았다면 회전율은 50%가 되는 것이고, 100억 원을 모두 사고 팔았다면 회전율은 100%가 되는 식입니다.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펀드 회전율은 보유하고 있는 총 자산 대비 매수 및 매도한 자산 금액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즉, 펀드가 보유하고 있는 자산 중 매수한 자산을 매도하고, 그 대신 매수한 자산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종목 수와 관계없이 자산 규모에 따라 회전율이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100억 자산 규모를 가진 펀드가 50억 양도하여 새로운 종목을 50억 매수하는 경우, 회전율은 (50억 ÷ 100억) × 100% = 50%가 됩니다. 즉, 펀드 회전율은 자산 규모와 매도 및 매수한 자산의 금액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종목 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