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레츠끼끼
레츠끼끼

어두울때 시야가 왜 다르게 보이는 걸까요?

뮤지컬처럼 암전인 상황에서 어떠한 물체가 움직이거나 존재할 때 그곳으로 시선을 돌리면 잘 안보이고 다른 곳으로 시선을 돌리면 물체가 보이는 것은 무슨현상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말씀하신 현상은 주로 '잔상 효과'와 '시선의 적응'이라는 두 가지 시각 현상이 함께 작용하여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우리 눈의 망막은 빛 자극에 노출된 후에도 짧은 시간 동안 그 자극을 기억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잔상 효과 때문에 어떤 물체를 응시하고 난 후 다른 곳을 보면, 앞서 본 물체의 형태가 잠시 남아 보이는 것이 바로 '잔상 효과'입니다.

    특히 암전 상태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응시하면, 망막에 강한 잔상이 남게 됩니다. 이때 다른 곳으로 시선을 돌리면, 잔상이 남아 있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어둡게 느껴져 움직이는 물체가 더욱 명확하게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어두운 환경에 오래 노출되면 눈의 동공이 확장되고 망막의 감도가 높아져 어둠 속에서 물체를 더 잘 볼 수 있게 됩니다. 이를 시각적 적응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암전 상태에서 특정 부분에 시선을 고정하면, 그 부분에 대한 시각적 적응이 빠르게 진행됩니다. 이후 다른 곳으로 시선을 이동하면, 상대적으로 적응이 덜 된 부분이 더 밝게 느껴져 움직이는 물체가 더욱 눈에 띄게 되는 것입니다.

    암전 속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볼 때, 잔상 효과와 시선의 적응이 동시에 발생하여 시각적인 착시 현상을 일으킵니다. 즉, 움직이는 물체를 응시하면 망막에 강한 잔상이 남고, 다른 곳을 볼 때는 상대적으로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의 대비가 강해져 움직이는 물체가 더욱 눈에 띄게 보이는 것입니다.

    뮤지컬에서 이러한 시각적 효과를 활용하면 관객의 시선을 특정 인물이나 사물에 집중시켜 극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암전 속에서 움직이는 물체가 잘 보이지 않는 현상은 우리 눈의 시각적인 특성인 잔상 효과와 시선의 적응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시선을돌리면서 빛의 경로가 빛의 명암을 감지하는 세포쪽들이 몰려있는쪽으로 이동하면서 더 잘 감지하게되었을 수 있습니다.

    또는 시간이지나며 암순응반응이 서서히 진행되고있기때문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어두울 때 시야가 다르게 보이는 이유는 막대세포와 원뿔세포가 빛에 다르게(밝을 때와 어두울 때)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어두운 환경에서 시야가 다르게 보이는 현상은 망막의 간상세포 분포와 관련이 있습니다. 간상세포는 어둠 속에서 빛을 감지하는 데 주로 관여하며, 망막의 중심보다는 주변부에 더 많이 분포합니다. 따라서 암전 상태에서 물체를 직시하면 중심에 밀집된 원추세포가 주로 관여해 빛을 감지하기 어려운 반면, 약간 옆으로 시선을 돌리면 간상세포가 활성화되어 물체가 더 잘 보이는 것입니다. 이를 "스코토픽 시각" 또는 "주변 시각 효과"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우리눈에서 빛의 밝기나 명암에 관련된 세포는 간상세포입니다.

    이런 간상세포가 적응하는데 걸리는시간인 암순응시간이 충분히 지나지않고

    시선을 움직이고난다음 암순응이 완료되면 이와같은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