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에는 집을 지을때 수평을 어떻게 측정했나요?
수직은 다림추라는것으로 수직을 알아내는걸 실제로도 본적이 있지만, 옛날엔 현대처럼 수평자도 없었을텐데 집을 지을때 어떻게 수평을 측정하였나요?
수평을 잘못맞추면 방바닥에 물을 쏟아도 한쪽 귀퉁이로 데구르르 흐르잖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수평자가 있었습니다.
집과 같은 구조물을 지을 때 가장 기본적인 도구이다. 대개 두 종류가 있는데, 첫째, 네모난 긴 막대의 평평한 면에 홈을 길게 파고 여기에 물을 부어 측정하는 방식으로 좀 오래된 형식이다. 둘째, 수평과 수직을 함께 잴 수 있도록 고안한 준척(準尺)이 있다.
이것은 丁자를 거꾸로 세운 모양으로 가로대와 세로대를 직각으로 고정시키고, 세로대 끝에 다림줄을 드리워서 줄 끝에 추를 달아 수직과 수평을 측정하는 형식이다. 조선 후기에 편찬된 『재물보(才物譜)』에서는 수평을 정하는 기구를 준(準), 수직을 정하는 가구를 승(繩)이라 하였다.
이 용어는 사물의 준칙(準則)을 뜻하는 규구준승(規矩準繩)과도 관계가 있는데, 이 말은 중국 진(秦)나라 때 편찬된 『여씨춘추(呂氏春秋)』에도 이미 기록되어 있다.
또 『일본서기』에는 671년(문무왕 11)에 고구려인이 준(準)을 일본에 전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로 미루어 수평을 정하는 기구는 삼국시대에도 이미 있었으며, 이를 일본에 전할 만큼 발달되어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수평반(水平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