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용차는 뒷유리 와이퍼가 왜 없나요?
일반 승용차는 뒷유리 와이퍼가 없는데 SUV는 뒷유리 와이퍼가 있습니다. 승용차도 있으면 우천시 편할텐데 왜 승용차는 뒷유리 와이퍼가 없나요?
- 안녕하세요. 추울땐기모티입니다. - 승용차의 뒷유리에 와이퍼가 없는 이유는 SUV, 해치백, 왜건 등에 비해 수평적입니다. - 뒷유리가 수평적이면, 주행 중에 뒷유리 부근에 생기는 공기의 빈 공간이 거의 없습니다. - 반면 뒷유리가 수직적인 형태의 SUV, 해치백 , 왜건은 주행 중 뒷유리 부근에 공기의 빈 공간이 발생해 일시적으로 진공상태가 됩니다. - 이 빈 공간에서는 기체가 강하게 회전하는 소용돌이 형태의 '와류현상'이 일어나는데 이 와류현상은 각종 이물질을 끌어들입니다. - 그래서 뒷유리에 먼지, 비 , 눈 등의 이물질이 쉽게 쌓이고 이를 닦아줄 와이퍼가 필요합니다. - 하지만 승용차 같은 경우는 주행중 바닥에서 튀는 이물질이 적기 때문에 승용차는 트렁크가 뒤로 돌출돼있기 때문에 - 바닥에서 튄 이물질이 뒷유리까지 닿지 않아서 와이퍼를 따로 만들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뛰어난꽃게83입니다. - 승용차는 뒷면 유리의 공기 저항 면적이 - suv보다 적구요. 일단 뒷 와이퍼를 -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폐지줍는 고블린입니다. - 사실 디자인적인 측면이 제일 많구요 요즘은 - 유리자체의 기능도 많이 좋아져서 꼭 와이퍼가 -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뽀로동입니다. - 유리가 경사진 승용차의 경우 와이퍼가 존재하게 되면 와류현상으로 인하여 각종 먼지와 같은 것들이 다량으로 붙게 되면서 제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고 수명도 짧아집니다. - 와이퍼가 제기능을 못하는 빈도가 높음으로 있으나 마나 하기 때문에 승용차 뒤에는 와이퍼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빈티지한수염고래252입니다. - 뒷유리에 와이퍼가 있는 차도 있고 없는 차도 있습니다. 뒷유리에 와이퍼가 있는 차량은 보통 승합차 또는 SUV입니다. - 나머지 차량은 와이퍼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럼 왜 승용차에는 뒷유리 와이퍼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일까요? - 그 이유는 승용차 뒷유리에 먼지가 덜 달라붙기 때문입니다. - 자동차가 지나가면 그 지나간 부분을 메꾸기 위해 공기가 이동하는 와류가 발생하게 되는데요. - 승용차는 뒷유리가 비스듬하게 디자인되어 있어 와류가 유리창 쪽에 덜 발생하게 됩니다. - 반면 SUV는 뒷면의 유리가 수직에 가깝기 때문에 와류가 발생해 그 와류를 따라 많은 먼지가 창에 달라붙게 됩니다. - 그렇게 되면 차량 운전자가 후방주시가 힘들어지게 되죠. 그렇기 때문에 SUV 형태의 차량 뒤창에는 와이퍼가 달린 것입니다. - 많은 사람들이 뒷유리창 와이퍼는 비가 오면 닦으려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 이유보다는 와류 발생으로 인한 먼지 흡착이 주원인이었습니다. - 궁금증이 해결되셨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