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바이낸스 차트와 국내거래소 차트가 유사하게 그려지는 건 왜 그런건가요?

어떤 코인이든 바이낸스에 상장된 코인들은 국내거래소에서도 차트가 동일하게 나타납니다

사람들의 심리가 다 다르기에

똑같은 차트 모양을 그린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울 것 같은데

시세의 차이는 있지만 차트모양이 똑같이 그려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솔직하게 질문자님의 질문의 요점을 제대로 이해하기가 힘이 듭니다. ^^

    우선 동일한 종목의 경우 거래소가 다르다 할 지라도 차트의 패턴은 동일하게 진행 됩니다. 그 이유는 조금이 시세 차이는 있을 지 몰라도 동일한 종목은 거래소 별로 거의 비슷한 가격을 유지하기 때문 입니다.

    그리고 최근에 국내 거래소에 있는 알트들을 보면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차트들이 비슷한 패턴을 보여주는 이유는 비트코인의 변동성에 알트들이 움직이고 있기 때문 입니다.

    이는 알트 횡보장/약세장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바이낸스와 국내 거래소는 같은 시장 데이터를 공유하며 전 세계의 다양한 거래소들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코인들은 투자자들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며 해외나 국내에 거래되는 코인은 동일한 것이기 때문에 비슷한 흐름을 이어갑니다. 또한 시장의 전반적인 추세와 분위기 반영되기 때문에 바이낸스나 국내거래소나 같은 흐름으로 차트가 구성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코인은 각 거래소별로 가격은 다르지만 그 시세의 변동성은 비슷하게 흘러 갑니다

    • 그 이유는 거래소간에 이체가 자유롭기 때문에 시세의 조금이라도 차이가 있으면 그 차익을

      노리는 이동이 있기 때문입니다

    • 따라서 대부분의 거래소에서 움직임이 비슷하게 나타나며 우리나라에 최근 있었던 비상계엄때는

      우리나라만 특이하게 시세가 움직였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호화폐는 전 세계적으로 24시간 거래되는 글로벌 자산입니다. 따라서 주요 거래소 간의 가격 차이가 발생하면 즉시 차익거래 기회가 생기고, 이를 통해 가격이 빠르게 동기화됩니다.

    그리고 심리적으로 주요 뉴스나 이벤트에 대한 투자자들의 반응은 대체로 비슷하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유사한 매수/매도 패턴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김치 프리미엄이라고 해서 국내 거래소의 가격이 해외 거래소보다 높게 형성되는 현상이 있지만, 이는 주로 절대적인 가격 차이일 뿐 차트의 전체적인 모양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일부 차이는 있지만 결국 코인이 글로벌 자산이기 때문입니다. 만약에 코인의 가격차이가 크다면 특정 거래소에서 해당 거래소로 코인을 옮겨서 파는 차익거래를 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차익거래에 대한 수요로 인하여 거래소가 막혀있지 않는이상 이러한 차이가 유지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바이낸스와 국내 거래소 간의 코인 가격은 각 거래소별 수요와 공급에 따라 다를수밖에 없지만 차트가 유사하게 그려지는 이유가 있습니다. 일단 어느 한쪽의 거래소에서 가격이 상승하거나 하락하면 그것을 보고 다른 거래소에서도 해당 코인의 가격이 바뀔것을 예상하고 매수나 매도를 하며 가격이 따라갈 것입니다. 또한 어느 한쪽의 시세가 더 높으면 낮은쪽에서 코인을 사서 높은쪽 지갑으로 보내 해당 거래소에서 매도하는 차익 실현을 노리면서 다시금 가격이 맞춰질것이기 때문에 코인들은 유사한 모습을 보일수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같은 코인이라면 각기 다른 거래소라고 하더라도 가격 추세는 비슷하게 갈 수 밖에 없습니다. 거래소 간에 코인이동을 통해서 시세차익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시세가 비슷한 형태로 움직일 수 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면 미국의 코인베이스에서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하여 1억원에 거래되고 국내는 거꾸로 가격이 상승하여 1.5억원에 거래된다면 코인베이스에 있는 비트코인을 구입하여 국내에서 매도하게 되면 0.5억원의 시세 차익이 생기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그 흐름을 유사하게 가져가기 때문입니다. 투자자들이 해당거래소의 차트만 본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다른 거래소의 시세도 민감하게 지켜보고, 이격이 많이 발생하면 보수적으로 매도를 하기도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바이낸스 거래소 차트나 국내 거래소 차트나 다른 나라 코인거래소 차트나 비트코인 기준으로 보면 다 똑같은게 정상입니다 당연히 같아야할거 같습니다

    거래소 참여자 차이는 있지만 크게 보면 비트코인 하나를 가지고 매매를 하는 근본은 같기 때문이죠

    바이낸스가 세계 최대 거래소이니 기본적으로 바이낸스 거래 가격을 비슷하게 따라서 사고 팔고 한다고 보시면 될거 같습니다 이건 비트코인을 비롯한 모든 알트코인에도 공통적인거입니다

    그래서 김프도 보통 바이낸스랑 업비트 가격차이로 계산합니다

    위험자산은 대응의 영역같습니다

    그래도 요즘 비트코인이 좋아서 알트코인도 대응만 잘하면 돈이 되는 시장입니다

    질문자님은 대응 잘 하셔서 큰 수익 보시면 좋겠습니다

    그럼 올해 한해 마무리 잘하시구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