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사일러스
사일러스23.05.07

과거에 전보는 어떤 방식으로 운용되었나요?

과거에는 전화가 등장하기 전에 '전보'라는 통신 수단이 있었다고 들었습니다.

소설 셜록 홈즈 시리즈를 보면 전보가 자주 등장하는걸로 봐선 유럽에서는 제국주의 시절부터 있었던것 같은데, 어떤 방식으로 운용되었나요?

한국에는 전보가 언제 도입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07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전보송달지를 작성하면 우체국 간에 전화나 전신기를 통해 연락을 했고 수신한 우체국에서 전보지를 작성해서 받을 사람에게 보내거나 받을 사람이 우체국으로 와서 수령했다. 모스 부호가 있던 시절부터 사용된 유서 깊은 통신수단으로,

    영국과 미국에서 1840년대에 설치되었고, 한국에서는 이미 구한말인 1885년에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전화 같은 것이 아직 발명되지 않았고 간단한 전기선 정도만 가설되어 있던 시대에는 유용했고, 이후로도 1970~80년대에 전화가 전국적으로 보급되기 이전까지 유용했던 통신수단이었다. 특히 주로 긴급한 연락을 위해 사용했는데, 편지를 띄우면 많은 내용을 정확히 적을 수 있지만 인편, 마편 등으로 전달하느라 시간이 아무리 빨라도 같은 동네가 아닌 이상 짧게는 하루, 길게는 몇 년(!)이 걸리는 경우도 허다했는데 전보는 전신주만 가설되어 있으면 몇 시간에서 하루 정도면 속보 배달이 가능했던 것. 다만 원시적인 전기통신수단의 응용이다 보니 긴 메시지는 전하기 힘들어서 최대한 짧은 내용으로 주고받았다.

    한국에서는 각 우체국에서 전보 접수를 받았고 현재는 KT에서 접수를 받고 있다. 1965년 기준 시외전보는 기본 10자에 50원을 받았다. 삼양식품에서 라면 처음 만들 때 한 봉지가 10원이었으니, 어마어마하게 비싼 셈. 그마저도 기본 10자라, 한 글자라도 추가되면 추가 요금을 내야했다. 과거 문자가 30자까지 기본요금, 이후 MMS로 전환된 것과 같은 맥락. 그래서 당시에도 말 줄여 쓰는 데 어마어마한 내공을 가졌다고 한다. 훗날 통신체의 시발점인 셈.

    그런데 이런 방식으로 줄여 쓰는 것조차 창의력이 필요하고, 주로 한자를 써서 줄이는 거라서 한자를 잘 모르는 사람에게는 힘든 일이다 보니 당시 통신공사(현 kt)에서는 예문을 여러 가지 만들어 놓고 그 중 하나를 골라 쓸 수 있게 했다. 예를 들어 축전 조전 기타 등 대분류를 만들어놓고, 결혼 승진 부친상 모친상 등 예문을 하위 분류로 해서 기호로 표시하는 방법으로, 이를테면 "가갸" 하면 가)분류: 축전 , 갸)번 예문 "고희를 축하하오며 만수무강을 빕니다." 하는 식이었다. 이용자는 전화번호부에서 예문을 찾고, 전보 접수 번호에 전화를 걸어 전화기에 대고 수신자 주소와 이름, 기호를 불러주면 그 내용대로 인쇄해서 우편으로 보내는 방식이었다.

    사실 이런 방식이 현재도 유효한데 바로 계좌이체시에 송금인명을 기재할 때이다. 종이통장의 경우 농협은행, 농축협은 6글자밖에 안 되고 우리은행은 알파벳과 숫자를 전각으로 처리한다. 통장으로 뭔가 메시지를 전하려면 두세 번에 걸쳐 보내는 것이 좋다.

    19세기-20세기 초중반이 배경인 창작물 중에서도 종종 등장하고는 한다. 특히 추리 소설에서 셜록 홈즈가 자주 이용한다.

    주로 병이나 장례 관련 문제, 또는 축하할 일이 있을 때 사용했다. 특히 한국이나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에서는 관혼상제와 관계가 깊었던 연락 체계이다.

    출처: 나무위키 전보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전보의 시작은 부산과 나가사키 사이에 1883년에 해저전신선이 가설되면서 처음 도입되었습니다. 1880년대 이후 조선 정부에 의해 전신선이 육로로 가설되었으나 청에 의해 운영되었습니다. 근대 문물이 도입되기 시작한 개화기 대규모 자본이 들고 큰 이익이 보장되는 사업들은 외국 자본에 의해 시행되던 것이 보통이었습니다.


  • 전보(電報)란 유무선 전화선을 통해서 전신으로 신속하게 보내는 통신이나 통보를 말합니다.

    때로는 말이 아니라 소위 모르스 부호를 써서 전보를 보냈으며, 최종 수신자는 간결한 문장으로 된


    통신문을 받았습니다.


    ●옛날에는 먼 곳에 전보를 치려면 우체국이나 전화국에 가서 규정된 서식에 내용을 적어서 글자수에 따라


    소정의 요금을 지불하고 담당자에게 접수해야 했었지만, 통신 수단이 한층 발달한 뒤로는 국변 없이 115에


    전화를 걸어 신처하면 되었습니다.


    ●그러나 요즘에는 컴퓨터를 이용하는 인터넷이 발달했기 때문에, 전보 대신 e-mail을 사용하게 되어


    전과 같이 전보를 이용하는 사람은 적어졌습니다. 그래도 각종 축하전보나 위로전보를 보낼 때, 혹은


    인터넷이 없는 지역 사람에게 급한 소식을 전할 때는 고전적인 전보를 활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해본 결과 전보는 수천 년에 걸쳐 세계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어왔습니다. 전보의 종류와 방식에는 다양한 것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럽에서는 제국주의 시대에 전보가 활발하게 사용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것은 "모르스 부호"입니다. 모르스 부호는 19세기 초에 개발된 통신 방식으로, 긴 소리와 짧은 소리를 조합하여 문자를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전화가 발명되기 전까지 유럽에서 가장 중요한 통신 방식 중 하나였습니다.

    한국에서 전보는 조선시대부터 사용되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전보를 전달할 때 "판소리"를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이후 전보를 전달하는 방식은 시대에 따라 변화했습니다. 일제강점기에는 전보가 일본어로 전달되기도 했으며, 한국전쟁 이후에는 무전기를 사용하여 전보를 전달하기도 했습니다.참고하셔서 도움 되셨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