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
23.10.28

미국은 다시 금리를 올리느니 마니 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다시 금리를 올리느니 마니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어떻게 금리 정책이 변화하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시장에서는 어떻게 예측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박재오 경제전문가blue-check
    박재오 경제전문가
    프리랜서
    23.10.29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 연준은 최근의 동결 상황을 제외하고 가파르게 금리인상을 단행하였습니다. 그러나 한국은 이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며, 현재는 한미 금리차는 2%까지 벌어졌습니다.

    따라가지 못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가계 및 기업의 부채리스크입니다. 현재 한국은 외환보유고가 지속적으로 빠져나가고 있는 상황으로 미국이 한번더 인상을 한다면 따라갈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사료되며, 시장에서는 2% 금리차를 유지할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경기 부양을 위해 쉽게 올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가계 부채가 증가세에 있으며, 가계 빚이 더 많아지는 경우에는 기준금리 인상이 단행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10.29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올해도 금리를 올렸지만 햔국은 경기침척 영향 및 가계부재문제로 계속 홀딩했습니다. 당분간 유지하고 미국 금리추이를 보면 인하할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움직임에 따라 다를 것 같습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린다면 우리나라 또한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 추가로 금리를 인상하게 되는 경우에는 달러환율의 상승이 예상되면서 우리나라 또한 기준금리 인상을 해야 하는 상황이 올 것으로 보여지고 있어요.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여전히 부채리스크가 더욱 큰 문제이다 보니 금리를 올릴 가능성은 낮아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 계속해서 금리를 올릴 계획을 하고 있지만

    한국은 이와 달리 계속해서 금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금리를 올리게 되면 부동산 등의 내수 시장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울며겨자먹는 심정으로 금리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