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과감한돌고래282
과감한돌고래28219.12.11

건물내부 시멘트에 방수시공에 대해 궁금합니다.

건물 내부의 벽이나 바닥에 균열이 생겨 방수시공을 다시 해야한다고 할경우 , 시멘트를 다시 바르고 마른후에 어떤 약품같은걸 바르는건가요?

시멘트를 바른후에 어떤처리를 해야 방수시공이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건축물에 주소 사용하고 있는 방수재는 어디에 사용하는지, 어떤 목적으로 사용하는지에 따라서 다르며 그러한 차이로 분류가 가능합니다.

    그래서 방수재료와 방수 적용에 따른 방수의 세부점을 알아보겠습니다.

    1. 방수재료의 종류와 분류

    (1) 멤브레인 방수재

    1. 아스팔트계 방수재
    2. 자착식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계 방수재
    3. 합성고분자 시트계 방수재
    - 합성고무: 가화고무계, 도막계 방수재
    - 합성수지: 염화비닐수지계, 에틸렌수지계
    4. 도막계 방수재: 우레탄 고무계, 아크릴 고무계, 고무 아스팔트, 콜로로프렌계, 아크릴 수지계, 폴리머계, 무기질 탄성계

    멤브레인 방수제는 불투성 방수피막을 형성하는 압수재 입니다.

    (2) 시멘트계 방수제

    1. 시멘트 액체형
    - 무기질계: 무기질계열화칼슘, 규소소다, 실레케이트계
    - 유기질 지방산계: 지방산계, 파라핀계
    - 유기질 폴리머계: 합성고무 라텍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 아크릴에멀전계
    2. 규산질계 분말형 도포 방수재: 무기질 단체형, 무기유기질 혼합형
    3.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방수재: 수지에멀젼계, 고무라텍스계, 재유화형 분말수지계

    (3) 기타 재료

    1. 콘크리트 표면 도표용 액상형 흡수 방지재
    - 유기질계: 실리콘계, 아크릴계, 우레탄 화합물계
    - 무기질계: 실란계, 규산질계
    - 스테인리스 시트, 동판
    2. 실링 방수재: 실리콘계, 변성 실리콘계, 폴리설파이트계, 아크릴우레탄계, 폴리우레탄계, 아크릴계
    3. 수팽창 벤토나이트 방수제

    2. 방수 부위에 따른 방수 분류방수 공사는 건축물의 어느 부분에 시공을 하느냐에 따라서 몇가지로 분류가 가능한데,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구분적용 대상옥상/지붕 방수건축물 옥상 또는 건물 지붕에 시공외벽 방수주적 벽, 구조물 외벽면에 시공실내 방수주로 아파트, 빌라등 주택의 욕실/화장실 혹은 발코니 등에 시공지하 방수건물물의 지하 내부, 외부에 시공

    (1) 옥상(지붕) 방수 재료

    1. 노출형
    - 도막방수: 우레탄계 도막방수재, 시멘트 혼입폴리머계 도막 방수재
    - 시트방수: 합성고분자계 시트, 노출형 개량 아스팔트 시트 방수
    - 기타방수: 시트+도막 복합 방수재, 금속판재, 플라스택패널 방수재
    2. 비노출형
    - 도막방수: 우레탄계 도막, 시멘트 혼입폴리머계 도막, 아크릴계 도막 방수
    - 시트방수: 합성고분자계 시트, 개량아스팔트 시트, 융융적층 아스팔트 시트 방수
    기타 방수: 시트+도막 복합 방수, 플라스택패널 방수

    ※ 최근 지방 활용 트랜드
    최근에는 옥상을 보기 흉한 슬라브 옥상으로 방치하는 대신 여러가지 시설을 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옥상 활용예: 옥상 정원, 옥상 광장, 옥상 상업시설, 조깅트랙, 풀장 등 스포츠 시설, 옥상 주차장, 소방 활동의 거점, 설비기기의 설치장

    (2) 외벽 방수재

    건물을 지을 때 사용하는 콘크리트는 결함 부위가 없으면 충분한 방수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건물 외벽에는 특별한 방수처리를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콘크리트의 건조, 수축이나 온도 변화에 따른 거동 등에 의한 원인으로 누수가 발생할 경우 외벽 방수가 요구됩니다.

    (3) 실내 방수재

    1. 주방, 화장실, 발코니: 우레탄계 도막, 시멘트 혼입폴리머계 도막, 아크릴계 도막방수
    2. 욕실, 수영장: 우레탄계 도막, 시멘트 혼입폴리머계 도막, FRP계 도막 방수


    (4) 지하층 방수재

    지하 공간을 설계할 때는 토압, 수압 등의 영향을 고려해야 하며, 지하 방수 공법은 가능한 언제나 수압을 받는 쪽에서 방수를 하여야 합니다(바깥 방수 공법 기본). 또한 방수층의 접속부분이나 끝부분의 마무리에 주의해야합니다.

    1. 최상층 슬래브: 시트+도막 복합 방수공법, 합성고분자계 시트, 고무 아스팔트시트 방수
    2. 내벽: 에폭시 도막, 규산질계 도포, 시멘트 액체 방수
    3. 외벽: 시트+도막 복합 방수공법, 합성고분자계 시트, 벤토나이트 매트, 시트 방수

    (5) 침투성 방수재

    침투성 흡수 방지제의 수성분은 유기질 모노머(Monomer), 올리고머(Oligomer) 또는 폴리머(Polymer) 등 입니다.
    원리는 침투 방수제를 도포하면 방수제가 건축 구조물 소재의 내부에 침투하여 불투수층(방수막)을 형성하여 방수 성능을 유지하는 원리 입니다.
    1. 실리콘계
    - 실리코네이트계
    - 실리콘계
    2. 비실리콘계
    - 아크릴 우레탄계
    - 우레탄 화합물계
    - 유기 중합물계

    3. 결론

    콘크리트 구조물은 방수가 필수적인데,
    1. 콘크리트 내구수명을 위해 강도를 유지하여 건축물의 수명을 연장하고
    2. 콘크리트 균열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며
    3. 시설물 유지 보수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4. 내장 재료의 웨손방지 및 적절한 주거, 사무 활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필수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는데,
    1. 환경변화(온도, 습도) 때문에 수축, 팽창의 반복으로 건물의 피로도가 증가합니다. 그리고 구조체에 균열, 외장재 박리, 콘크리트 내부 철근의 부식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2. 콘크리트의 균열은 방수재료의 성능을 저하시키며, 균열로 인한 구조물의 누수를 유발하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적절한 방수 공법으로 구조믈의 내구성을 최대화 시키고, 건축물 노후화를 막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