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 벌리고 자는 습관 고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코로 호흡하는게 좋다고들 하는데 수면을 할 때도 입을 벌리는 것보다 코로 호흡하면서 자는게 좋다고 하더라고요.
막상 신경써서 입을 다물고 자려고해도 결국 입을 벌리고 자게 되던데, 입 벌리고 자는 습관 고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입을 벌리고 자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선 먼저 원인이 되는 질환이 무엇인지 확인해 해결하는 게 중요하겠습니다.
질환이 없는데도 입을 벌리고 잔다면, 베개 높이를 낮춰보시기 바랍니다.
입 벌림 방지 테이프와 같은 물리적인 장치를 이용해 구강호흡을 차단하는 것도 방법이 되겠으나 수면 무호흡 환자와 같이 코를 이용한 호흡이 힘든 경우에는 입 벌림 방지 테이프가 오히려 호흡에 방해를 할 수 있으며, 피부가 민감한 사람은 테이프로 인해 알레르기 증상 등이 생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입을 벌리고 자는 습관은 건강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자고 일어나면 입 주변이 마르고 목이 건조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입을 벌리고 자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수면 무호흡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코로 호흡하기 어려워 입을 벌리고 자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기도저항증후군과 같이 기도가 좁아져 호흡이 어려운 질환을 가진 사람들도 입을 벌리고 잠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너무 높은 베개를 사용할 경우 고개가 올라가 기도가 좁아져 자연스럽게 입을 벌리고 자게 됩니다.
입을 벌리고 자면 코에서 오염 물질이 걸러지지 않아 세균 감염, 천식, 비염 등의 발병 위험이 높아집니다. 구강이 건조해져 구취나 충치 같은 잇몸병이 발생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입을 벌리고 자면 돌출 입이나 무턱 같은 안면 골격 변형이 생길 수 있습니다. 코로 호흡하는 것과 달리 입으로 호흡하면 산소 공급이 잘 되지 않아 수면의 질이 떨어지기 쉽습니다.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수면 무호흡증 같은 질환이 있다면 병원을 방문해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특별한 질환이 없는데도 입을 벌리고 잔다면 베개 높이를 낮추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성인 남성의 적절한 베개 높이는 6~8cm, 성인여성은 5~7cm 이 좋습니다. 입 벌림 방지 테이프 같은 물리적인 장치를 사용해 구강 호흡을 막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우선 코로 숨쉬는데 문제가 있는지 확인을 해보시는 것이 순서입니다
이비인후과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