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23.12.14

조선의 종기로 죽은 왕이 누구인지 궁금합니다.

조선의 왕들은 종기로 많이 앓은것으로 알고 이 종기를 제대로 치료를 못한것으로 아는데요.

그렇다면 이 종기로 인해서 사망한 조선의 왕이 대표적으로 누구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14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5대 왕 문종은 등창으로 사망했다고 합니다.

    9대 성종은 종기, 설사, 두통 요통 등 다양한 질병을 앓았고 폐결핵과 합병증으로 사망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종기로 인해 사망한 왕으로 대표적인 왕은 효종인데요. 눈에 난 종기에 침을 잘못 놨다가 이게 혈락을 범해서 과다출혈로 사망했습니다. 그외 현종이나 정조도 종기가 직,간접적인 원인이 되어 사망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왕들 중에 종기로 사망한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조선시대 왕 27명 중 12명이 종기가 원인이 되어 사망하였습니다. 문종 성종 연산군 중종 광해군 효종 현종 숙종 경종 정조 순조 헌종 등입니다. 대표적으로 정조는 홧병으로 인한 종기로 결국 죽음에 이르렀습니다. 문종이 종기로 고통스러워 하자 의원들이 뿌리까지 뽑아내자 세종이 크게 기뻐했다는 기록이 있고 성종이 작은 종기를 앓았다고 전해지며 숙종의 엉덩이에 종기가 났다는 기록 등이 조선 왕조 실록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효종입니다. 눈에 난 종기에 침을 잘못놓았다가 과다출혈로 사망했으며, 그 외에 아들이었던 현종, 후의 개혁정치를 주도했던 정조까지도 종기가 직,간접적인 원인이 되어 사망했습니다. 의료 기술이 발달하지 않아서 합병증 등을 제대로 치료하지 못해 사망하였던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효종, 현종, 정조 등이

    종기와 관련된 질병으로 사망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조입니다. 역대 조선 왕들이 앓던 고질적인 지병인 종기를 앓고 있었으며 말년에는 종기에 고름으로 굉장히 고생했다. 그 더운 여름날 몇 되나 되는 고름을 쏟으며 고생했다고 하니 고통이 얼마나 끔찍했을지 짐작할 수 있다. 당시의 열악한 의료 기술 탓에 종기를 어떻게 손 써보지도 못하고 인삼을 넣은 탕약만 마시다 악화되어 결국 사망하였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대표적인 게 22대 왕인 정조이며, 연훈법으로 종기를 치료하려 하였으나 며칠 안되어 숨을 거두게 됩니다. 또한, 17대 왕 효종의 경우 눈 주변에 종기가 났는데, 어의였던 신가귀가 침을 잘못 놔서 혈락을 범해 과다출혈로 재위 10년 만에 숨을 거두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