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똑똑한오솔개167
똑똑한오솔개16721.12.05

목디스크일까요?증상이 왔다갔다 합니다

약 1주전에 헬스하면어 데드리드프트하면서 목에 통증을 느꼈습니다 그 뒤로 오른쪽 목아랫부분 윗가슴 견갑쪽 통증으로 오른팔 들면 통증이 심해지집니다 왼쪽팔은 통증은 없지만 어깨부터 손가락끝까지 저리는 증상이 있습니다 저리는 증상은 왔다갔다 합니다 아직 병원 검사전이라 진단전입니다 목디스크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


    경추 추간판 탈출증은 일상생활의 잘못된 습관이나 사고 등으로 인해 목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졌을 때 나타나기 쉽습니다.
    ① 장시간 앉아 있으면서 머리와 목을 앞으로 내미는 습관
    ② 눈이 나빠 눈을 찡그리며 목을 빼고 앞으로 보는 습관
    ③ 사고 등 직접적인 충격으로 목뼈나 관절에 손상이 생긴 경우
    ④ 평발이거나 발에 맞지 않은 신발을 계속 신는 경우
    ⑤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경우
    ⑥ 높은 베개를 사용하는 경우

    경추 추간판 탈출증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목의 통증
    ② 어깨, 팔, 손바닥, 손가락의 통증
    ③ 감각 이상(만지면 전기가 오듯 저린 느낌, 둔한 느낌)
    ④ 마비 증상(쥐는 힘이 떨어져 물건을 놓침. 팔을 들어 올리기가 힘듦.)
    ⑤ 눌리는 신경의 위치에 따라 통증의 위치도 변함.

    경추 추간판 탈출증의 치료는 크게 보존적 요법과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보존적 요법


    1) 침상 안정
    침상 안정은 디스크의 압력을 줄일 수 있습니다. 높지 않은 베개를 선택하여 목덜미까지 베도록 합니다.

    2) 약물 요법

    3) 물리치료

    4) 체중 조절

    5) 운동 요법 : 근육 강화 운동을 꾸준히 해 주면 좋습니다. (걷기, 체조, 수영 등)

    6) 올바른 자세
    의자에 앉을 때 등을 구부리지 않고 양쪽 어깨를 펴고 바르게 앉습니다. 걸을 때는 목을 앞으로 숙이지 않고 어깨를 펴고 바르게 걷습니다.

    7) 압통이 있는 부위에 국소적으로 마취제나 스테로이드 주사

    2. 수술적 치료


    6주 이상의 적극적 보존적 치료(경구 약물, 신경 차단술 등)로도 일상생활이 힘들 정도의 통증을 호소하거나, 근력 저하, 보행 장애, 대소변 장애 등 마비 증상이 진행되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합니다.

    1) 신경 감압술

    2) 디스크 제거술

    3) 경추 유합술

    진료보시고 mri 필요여부 확인해보세요.

    시술이나 수술이 필요로 치료를 해야되는 경우가 분명 있습니다.

    길게 설명드리기는 어려운 부분이라서 이 정도로 마치겠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아래는 목디스크 증상에 대한 글을 정리해놓은 것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디스크 돌출 방향에 따라 증상 약간씩 달라
    목 디스크의 증상은 대개 비슷하다. 그러나 디스크나 척추 뼈의 노화에 따라 뼈가 돌출된 골극의 돌출 방향에 따라 호소하는 증상이 약간 다르다. 후측방으로 돌출된 경우에는 목 뒤쪽의 통증과 함께 어깨, 견갑부에 통증이 나타나고 팔이 저리거나 당기는 듯한 통증이 나타난다. 후측 중앙으로 탈출된 경우는 척수가 직접적으로 압박을 받게 되어 양측 팔, 다리 모두의 운동약화나 배뇨, 배변 장애 등이 일어나기도 하고 눌리는 양상에 따라 여러 가지 척수병증의 증상이 발생한다. 대개의 경우 목을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으며 팔이 저리는 증상도 심해진다. 또 디스크가 발생한 부위에 따라 눌리는 신경이 다르므로 각 신경의 기능에 따라 운동 약화와 감각 이상, 반사 기능 이상 등의 증상이 나타나 주먹을 쥐거나 팔을 구부리고 펴는 힘이 약해지기도 한다.

    증상에 맞게 운동과 휴식, 약물 등으로 치료
    목 디스크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치료하는데 수술적인 치료는 가장 마지막에 고려한다. 증상이 가볍다면 운동 치료와 휴식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고 보조적인 약물 치료와 물리 치료도 도움이 된다. 증상이 심하나 마비가 없는 경우에는 이런 보조적인 치료에다 적극적인 통증 치료로 증상의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 대부분 비수술적 치료로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전체 환자의 약 10% 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거나 마비로 진행되어 수술이 필요하게 된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2.07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목디스크의 전형적인 증상인 과도한 부하 운동 시행 후 야기된 근육의 통증 또는 약화 팔부위의 감각이상이 동반된 상태로 해당 질환을 명확히 감별하기 위해 신경외과 / 정형외과 진료 후 영상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목디스크일수 있으니 목디스크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목디스크로 인해 팔이나 손등, 그리고 등이 결리거나 저리는증상도 생길수 있으니 유의하셔야합니다.)

    목디스크의 원인

    엎드려있는 시간이 많을때

    (엎드려자는것도 좋지 않습니다.)

    운전을 할때 목을 앞으로 빼고 운전을 많이 할때

    교통사고를 당했을때

    운동중 강하게 부딪혔을때

    목디스크의 치료

    목디스크를 유발시키는 요인의 대부분이 안좋은 습관입니다.

    엎드려있거나 목을 앞으로 두고 운전을 한다거나 하는등

    이러한 목에 힘이 가해지는 자세를 취하지 않도록

    항상 목을 바르게 펴주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증상이 악화될 경우 수술적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 증상은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증상만 가지고는 디스크인지 단순 염좌인지 또는 다른 질환인지 파악할 수 없습니다. 증상이 있는 만큼 관련하여 정밀 검사를 받고 정확한 상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형외과 진료를 보시고 필요한 검사 및 결과에 따른 치료를 받으시는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팔로 저린 증상이 있다면 목 디스크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판단됩니다. 다만 검사를 통해서만 정확히 알 수 있는 부분이라서 가급적 검사를 통해 확인하기 전까지는 통증을 유발하는 자세는 피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또한 필요하면 소염 진통제도 잘 드시구요.


  • 안녕하세요. 김민부 한의사입니다.

    아직 말씀 해 주시는 증상만으로 목디스크다 아니다 판단하기는 어려운데

    위에 말씀해주시는 증상이 심해지면

    목 디스크로 충분히 발전할 수 있습니다.

    신경계통 증상은 빨리 치료하시면 할수록 호전이 빠르니까

    가까운 병원에 들르시어 치료를 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우선 목통증 후에 저리는 듯한 팔통증까지 생기신 경우라면 목디스크를 가장의심해 보셔야할것 같습니다.

    당분간은 무리한 운동은 삼가시면서 가까운 정형외과 또는 신경외과에 내원하시어 목척추에 대한 진료를 받아보셔야 할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경추 사이의 디스크가 뒤로 돌출 될수 있고 돌출된 디스크가 신경을 누르게 되면 눌린 신경에 따라서 두통, 목통증, 팔 저림, 손 및 손가락 저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는것이 가장 좋으며 목을 구부리거나 힘이 들어가는 동작은 진료전까지 피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목디스크가 있으면 한쪽 팔로 방사통(저린통증, 전기통하는 듯한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상지의 근력약화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MRI로 디스크 병변을 확인 후 그에 맞게 치료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외에도 석회병변등 다양한 원인들이 있을 수 있으니 병원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치료법은 주사치료, 약물치료, 수술적치료 등이 있습니다.